글/이성현 기자
천정욱 브이티피엘 대표 "크리에이터와 인플루언서가 제품 판매에 미치는 영향이 엄청나"
강지수 디비디랩 대표 "고객과 소통은 당연하게도 너무나 중요"
12월 11일부터 12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글로벌 스타트업 페스티벌 COMEUP 2024(약칭 '컴업 2024')'가 성황리에 개최했다. '컴업 2024'는 중소벤처기업부, 코리아스타트업포럼, 창업진흥원이 주최한다. 'We move the world'를 슬로건으로 하는 본 행사는 다양한 산업에 종사하는 스타트업 경영자 및 리더들이 모여 자사 소개 및 네트워킹 시간을 가졌다.
'컴업 2024'는 18만 여명의 글로벌 관객이 참여하는 국내 최대 스타트업 행사다. '컴업'의 행사 내 비즈니스 매칭 프로그램을 통해 지금까지 2,000개 이상의 스타트업이 등록하여 2,300건 이상의 미팅을 성사했으며, 7,000억원 이상의 후속 투자 유치가 이루어졌다. 뿐만 아니라 전세계의 스타트업 기업들이 방문하여 열정과 기술을 공유하는 글로벌 커뮤니티의 장도 열린다.
또 '컴업 2024'에서는 예비창업자 대상의 '러너스 리그'와 초기 스타트업 대상의 '루키 리그'로 구분하여 스타트업을 선발하고, 이후 'COMEUP STARS' 프로그램을 진행하는데, 이를 통해 국내 최고 투자사와의 1:1 멘토링, 비공개 워크숍 등 다양한 혜택을 누리며 사업성을 검증하고 투자 유치의 기회까지 잡을 수 있다. 'Future Talk'라는 컨퍼런스도 진행했는데, Beginner(초심자)부터 Founder(경영자)까지 다양한 눈높이에 맞춰 여러 스타트업들이 자신들을 소개하는 자리다.
12일에는 이승환 ㅍㅍㅅㅅ 대표가 강지수 디비디랩 대표, 천정욱 브이티피엘 대표와 함께 '아무도 모르는 내 제품, 어떻게 잘 팔 것인가?' 라는 주제로 대담을 나눴다. 어떻게 인지도를 쌓고 팔 수 있을 지가 주제인데, 먼저 이승환 대표는 강지수 대표에게 어떻게 지금과 같은 UX 리서치 사업체를 갖추게 되었는지 물었다.

강지수 대표는 "창업 시작 당시부터 UX에 빠져 있었다. UX 리서치가 우리에게 얼마나 필요한지, 또 이게 임팩트가 얼마나 큰지에 대한 관심이 컸다"며 "창업 당시에는 UX라는 개념이 생소했는데 지금은 오히려 우리가 UX가 트렌드가 됐다. 그래서 디비디랩은 고객들이 여기 진입하는 데 장벽을 낮추려고 하고 있다. 왜냐하면 모든 제품은 '사용하기 어렵지 않다'고 생각하는 시점에 더 구매를 많이 하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정리하면 B2B 기반의 UX 리서치를 기업이라는 고객에게 먼저 시작하고 경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데서 시작한 것이다.
다음 질문은 최근 마케팅에서 화두가 되는 SNS 시딩과 홈페이지의 제품 상세 설명 중 무엇이 더 중요한지를 물었다. 결국 SNS 시딩의 중요성을 묻는 질문인데, 천정욱 대표는 "화장품을 판매하는 입장에서 우리는 MVP 모델을 만들고, PMF를 거치고, 확산 모델을 사용하는 기본 구조를 갖는다. 그렇게 PMF를 검증하다 보니 상세 페이지에 신경 쓰게 되고, 어떻게 해야 사람들이 거기에 들어가게 만들고 또 끝까지 읽게 만드는 지에 집중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제품 인사이트 발굴을 더욱 구체적으로 진행했다고 하는데, 그는 "PMF에서 '제품을 뭐라고 부르고 표현해야 사람들이 관심을 가져주고 구매전환할지'알 수 있는 LMF로 쪼개기 시작했고, 이제는 CMF를 준비한다"고 밝혔다.
그 이유로 "일부 고객을 제외하면 상세 페이지가 꼼꼼한 설명하는 데 비해 고객들이 잘 읽지 않는다"며 "그 대신 인스타그램, 틱톡 등 SNS에서 어떤 인플루언서가 어떻게 설명하는 지가 구매전환율에 큰 영향 미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최근 아마존과 같은 거대기업의 상세 설명 페이지 또한 간단히 묘사되어 있음을 덧붙이며 "크리에이터나 인플루언서가 언급하는 내용이 중요하다"고 다시 한 번 강조했다.

이승환 대표는 다음으로 강지수 대표에게 디비디랩의 유저 플랫폼 서비스와 플랫폼 이용자 늘리기 위한 방법을 물어봤다. 강지수 대표는 3가지로 먼저 요약했는데, 우리가 무엇을 파는 지를 정의하고, 쉽게 실패해도 되는 환경 만들며, 확실한 팬 층을 구축하는 것이라고 했다.
구체적으로는 "좋은 UX 리서치 문화를 파는 것이라고 우리를 정의했다. 또한 우주테스트라는 별도의 패널 테스트 플랫폼을 출시해 카카오톡 플러스에서 시작했는데, 여기서는 '고객의 의견을 비싸게 팔 것이다.' 즉, '당신의 응답에서 비롯된 명예가 높은 가치를 지닐 것이다' 라고 정의하고 플랫폼을 전개하다 보니 불성실한 응답률도 줄었다"고 밝혔다.
그리고 카카오톡 페이지가 쉽게 실패해도 되는 환경을 만드는 데 일조했다고 밝혔는데, "카카오톡 플러스 페이지는 만드는 데 30분도 걸리지 않는다. 또 즐겨찾기를 추가하면 경품을 증정하며, 새로운 설문조사와 스타트업의 신기한 서비스를 홍보하는 등 적극적으로 마케팅했다.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는 실패해도 개선할 수 있는 여지가 많고, 메시지와 발화 내용만 보완하면 된다" "그러다 보니 플러스 친구가 만 명을 넘어섰고, 현재처럼 앱으로 진출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다.
*기사의 전체 내용이 궁금하다면?
'비즈니스 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계문신제와 HRD, 이름을 부르면 사람이 자란다! (1) | 2024.12.17 |
---|---|
2025년, 트렌드에서 AI는 멀어진다? (1) | 2024.12.17 |
출판의 역사와 세대별 진화, 4세대출판을 이끌고 선도하는 AIBookTutor© (2) | 2024.12.17 |
리더만큼 중요한 중간 관리자! 역량 강화의 비법은? (2) | 2024.12.16 |
이번에 연말모임 대신 ‘이 것’ 경제·정치 리스크에 달라진 연말 풍경 (1) | 2024.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