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 사례

실무자의 경험을 조직의 경쟁력으로 전환시키는 방법

728x90
반응형
SMALL
지식 관리 프로세스는 '도·공·상·노·지'(도구·공정·상품·노동·지식)로
지식을 정리, 공유, 확산하는 매커니즘이 조직 안에 자연스러운 절차로 자리 잡는 것이 중요

OKR 컨설팅 3개월이 지난 시점, A대리가 코칭 중 어려움을 토로했다. B팀장님과의 미팅 중 팀장님이 대뜸 "그래서 3개월 동안 발견한 지식이 뭐야?"라는 질문을 던졌다는 것이다. 그 질문을 받은 A대리는 '멘붕'에 빠졌다. 자신이 발견한 지식이 무엇인지, 얻은 것은 무엇인지, 고민을 하게 됐다. 

실무자가 자기의 경험을 형식지화시켜 조직에 공유할 때, 이 지식은 조직의 경쟁력이 된다
 

B팀장이 질문한 것처럼, OKR에서는 3개월동안 목표를 잡고 달렸다면 그 과정에서 발견한 지식들을 정리하고, 공유하고, 확산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무를 경험하며 발견한 고객관점 지식, 시장에 대한 지식들이 잘 정리될 때, 이는 팀의 실력이 될 수 있고 팀의 실력이 쌓여 조직의 경쟁력이 되기 때문이다. 

경험을 지식으로 정리한다는 것이 생소하게 여겨질 수 있다. 이때 지식 관리 프로세스의 키워드가 바로 '도·공·상·노·지'다. '도·공·상·노·지'는 각각 도구, 공정, 상품, 노동, 지식을 의미한다. '도·공·상·노·지'는 지식의 패턴을 발견하는 5가지 방법이다.

발견한 지식들을 정리하고, 공유하고, 확산하는 것이 중요!
 

현장 경험을 통해 발견한 인사이트를 정리할 때, 그 지식을 암묵지의 상태로 가지고 있다면 공유하고 확산하는 것이 쉽지 않다.

그 암묵지를 형식지로 전환시켜주는 것이 '도·공·상·노·지'다. '우리가 이렇게 마케팅하니 고객 유입이 증가하더라', '우리가 이렇게 생산하니까 생산률이 높아지더라'의 지식을 '도·공·상·노·지'에 맞게 패턴화한다면 보다 쉽게 지식을 발굴하고 공유할 수 있다. 

가인지캠퍼스는 '도·공·상·노·지' 관점에서 지식을 정리한 것을 'Knowledge Sample Book'이라고 부른다.

'Knowledge Sample Book'
 

첫번째 사례는 '도구'를 도입하여 문제를 해결한 사례다. C기업의 전략구매팀은 물가상승으로 주재료 양배추의 가격이 상승하자 제조단가를 맞추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제조단가를 유지하되, 생산품질을 떨어뜨리지 않는 방법을 고안하다가 '냉동양배추'라는 도구를 발견했다.
냉동양배추를 가지고 제품을 만들어봤더니 품질은 유지하면서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보았다. 원가변동에 따른 매입비도 방어할 수 있었다.

전략구매팀은 이러한 경험을 통해 새로운 지식을 발견했다. 냉동양배추로 제품 테스트를 진행해보았더니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발견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총 9개 완제품에 들어가는 양배추를 냉동 양배추로 대체했고, 월 100만원, 연간 1,200만원의 재료비를 절감했다. 하나의 도구를 도입함으로써 성과를 낸 사례로 볼 수 있다.

두번째 사례는 '도·공·상·노·지'의 '공정'을 개선한 사례다. D기업의 총무팀은 구내식당에 대한 직원들의 컴플레인이 너무 많다는 고민이 있었다.

총무팀은 컴플레인을 50% 감소시키자는 목표를 세웠다. 컴플레인이 대다수는 줄을 서는 과정에서 새치기를 하는 사람이 너무 많다는 내용이었다. 총무팀은 고민 끝에 줄 서는 공정을 바꾸기로 했다.

'Knowledge Sample Book'을 활용해 성과를 내자!
 

이전에 아무런 제재나 규칙 없이 줄을 섰다면, '차단봉을 활용해 줄을 서는' 공정을 도입한 것이다. 실제로 개선 후 컴플레인의 40%가 감소했고 직원 만족도는 4.3% 상승했다. 총무팀은 컴플레인이 발생했을 때 원인을 발견하고 그 근본적인 원인 해결을 위한 '공정 개선'을 통해 성과를 낸 경험을 다뤘다. 

세번째 사례는 '도·공·상·노·지'의 '상품' 개선 사례다. E기업의 상품기획팀은 '우산 시장에서 분기 점유율 15.4% 확보', '매출액 240억 달성', '메인 유통업체 납품 5건 달성'이라는 명확한 목표를 세웠다.

상품기획팀이 고민 끝에 발견한 우산은 바로 '거꾸로 접는 우산'이었다. 보통의 우산은 우산을 접었을 때 빗물이 바깥으로 흘러내려 옷도 바닥도 적실 수 밖에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피드백을 바탕으로 상품기획팀은 빗물이 밖으로 흐르지 않도록, 거꾸로 접는 우산을 개발했고 이후 우산 시장 점유율 8.2%, 매출액 159억을 달성했다. 납품 계약은 기존 목표보다 4건 많은 9건 달성을 이뤄냈다. 

'도구'를 도입해 문제를 해결한 C기업
 

다음은 '도·공·상·노·지'의 '노동' 사례다. F기업의 생산팀은 생산 과정 중 배추를 씻고 절이는 데 사용하는 칼이 너무 자주 사라진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생산팀은 '작업 중 칼을 잃어버려 찾는 이벤트 0건, 배임사고 0건, 배추 절단 작업 중단 0건'이라는 목표를 세웠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칼에 자석을 붙여 사용 후 세척기에 칼을 부착하자는 아이디어가 나왔고 이는 '노동'의 방식을 개선하는 사례가 되었다.

실제로 이 지식을 현장에 적용하여 생산팀은 '작업 중 칼을 잃어버려 찾는 이벤트 0건, 배임사고 0건, 배추 절단 작업 중단 0건'의 목표를 이뤄냈고 생산률이 향상시킬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도·공·상·노·지'의 '지식'이다. 이번 사례는 성공의 원리, 이기는 원리를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성과를 내는 과정을 보여준다. G기업의 영업팀은 부진 재고를 판매하기 위해 'Family Sale 기획/진행' 프로젝트를 기획했다.

영업팀이 얻고자 한 것은 '충성고객과의 관계 강화', '현금 자산 확보'였고 결과적으로 '신규 멤버십 회원 1,000명', '고객 만족 95%', '매출 5,000만원 달성'을 얻었다. 영업팀은 '부진재고에 대한 원인을 파악함으로써 고객만족과 재고 처리'를 이뤄낸 지식을 공유했다.

개인의 지식을 기업의 자산으로 만드는 방법
 

영업팀은 충성고객들이 혜택을 충분히 느낄 수 있을만큼 멤버십고객에 대한 Family Sale을 진행했다.

'온/오프라인 매장 Family Sale 진행'이라는 지식을 통해 G기업은 신규 멤버십 회원과 매출 5,000만원의 성과를 낼 수 있었던 것이다.

나아가 이 지식은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앞으로도 부진 재고를 해결하는 데 있어 문제 해결의 키가 되어줄 수 있다. 

위의 사례들처럼 '도·공·상·노·지'를 활용하면 실무자의 경험을 형식지로 만들어 기업이 이후에도 다시 꺼내어 사용할 수 있는 지식화시킬 수 있다. 개인의 경험이 조직의 자산이 되는 것이다. 

한편, 가인지캠퍼스에서는 '도·공·상·노·지'에 대한 전체 강의와 샘플북을 https://bit.ly/3vpdD1V에서 제공하고 있다.

글/한주원 기자

*사례뉴스의 다른 기사를 보시려면? http://www.cas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630

가인지컨설팅그룹 경영 컨설팅 온라인 통합 회원제 ‘가인지 멤버십’
https://bit.ly/3gzuypU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