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 사례

기업이 뽑은 올해의 HR 이슈는?

728x90
반응형
SMALL

글/이성현 기자


올해 대내외 불확실성이 최고조에 이른 가운데, HR 시장도 여느 해보다 다사다난한 한 해를 보내고 있다. 과연 기업들이 꼽은 올해의 HR 분야 주요 이슈는 무엇일까.

커리어 플랫폼 사람인(대표 황현순)이 기업 412개사를 대상으로 ‘올해의 HR 이슈’를 조사했다. 그 결과, ‘청년층 구인난과 조기퇴사’가 40.8%(복수응답)로 1위로 꼽혔다.

실제로 인구구조 변화로 청년 인구는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반면, 통계청에 따르면 일도 구직활동도 하지 않는 ‘쉬었음’ 청년층(25~34세) 인구는 올해 3분기 42만2000명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25.4% 늘었다. 인구수와 일하고자 하는 청년층이 함께 줄면서 기업들이 청년 고용에 이중고를 겪는 상황이다. 구직 단념 청년들이 빈 일자리와 연결될 수 있도록 중지를 모아야 하는 시점이다.

다음으로 ‘신입보다 경력 위주 채용’(35%), ‘구조조정과 보수적 인력 운용’(27.4%)이 나란히 2위와 3위에 올랐다. 둘은 서로 궤를 함께하는 이슈로, 올해 기업들이 인력을 보수적으로 운용해 나가면서 초기 적응 및 교육 비용이 많이 드는 신입보다는 즉시 전력인 경력사원을 중심으로 채용했음을 방증했다. 경기 불확실성이 장기화됨에 따라 이러한 기조는 내년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다음으로 ‘최저임금 1만원 돌파’(26.7%), ‘주52시간 근로제 유연화 논의’(15.5%)‘가 뒤를 이었다. 기업들의 인력 운용에 실질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다. 또, 채용 시 컬쳐핏(조직문화 적합도) 중요성 증대’(12.9%), ‘공채 폐지와 수시채용 증가’(10.2%) 같은 채용 시장 트렌드와 최근 정부가 발표한 ‘육아휴직 지원/혜택 강화’(8.7%)도 주요 이슈로 꼽혔다. 이밖에 ‘외국인 채용 확대’(8.5%), ‘영시니어 채용 증가와 정년연장 논의’(8%) 등 경제활동인구 부족을 해결하는 대안에 대한 관심도 일부 있었다.

 

*기사의 전체 내용이 궁금하다면?

https://cas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911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