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들이 생각하는 좋은 죽음, ‘가족이나 의미 있는 사람과 함께 있는 것’
![](https://blog.kakaocdn.net/dn/bOPR4s/btsmGJDx0DH/LF0O5TngYsPsBuMCqkKic0/img.jpg)
의사 57%가 연명의료 받을 계획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7월 4일 목회데이터연구소 주간 리포트 ‘넘버즈’ 제 198호에서는 ‘좋은 죽음(웰다잉) 인식’이라는 제목으로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아래는 조사 결과에 대한 내용이다.
1. 의사들이 생각하는 좋은 죽음, ‘가족이나 의미 있는 사람과 함께 있는 것’
![](https://blog.kakaocdn.net/dn/nCHN4/btsmGJjd6NA/k5ZzNkkjl4Z5HM8Gjh56Ak/img.png)
최근 들어 죽음과 관련 웰다잉이라는 단어가 나올 정도로 어떻게 죽는가가 사람들의 관심사가 된 것 같다. 헬스조선에서 지난 6월 초 의사 1,000명을 대상으로 웰다잉에 대한 조사를 실시했는데, ‘좋은 죽음’의 가장 중요한 요소가 무엇인지 물은 결과, ‘가족이나 의미 있는 사람과 함께 있는 것’이 44%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서 ‘지금까지의 삶이 의미 있게 생각되는 것’ 34%, ‘통증으로부터 해방되는 것’ 14% 등의 순이었다. 가족과 함께 하고, 의미있는 삶을 사는 것이 의사들이 생각하는 웰다잉의 전제 조건인 셈이다.
이번에는 만약 임종이 6개월 남았다면 무엇을 할 것인지에 대해 물었다. 그 결과, ‘여행 등 평소 못 해봤던 것을 시도하겠다’가 절반 이상(56%)으로 가장 많았다.
2. 의사 57%, 연명의료 받을 계획 없어
![](https://blog.kakaocdn.net/dn/bjuHrf/btsmHnmf8K2/wddasnpewdlKBGc8l41bv0/img.png)
연명의료를 받을 계획에 대해 물은 결과, 의사 10명 중 6명 가까이(57%)는 ‘없다’고 응답했다. 반면 계획이 ‘있다’고 답한 비율은 16%에 불과했다.
죽음을 바르게 배움으로써 삶을 보다 의미있게 영위하도록 이끄는 교육이 ‘죽음 교육’인데 의사들에게 해당 교육에 필요한 내용에 대해 물었다.
그 결과, ‘죽음의 의미와 수용 방법’(45%)을 가장 많이 꼽았고, 그 다음으로 ‘살아온 인생 정리’, ‘연명의료 및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이해’ 등의 순이었다. 일반국민들을 대상으로 한 죽음 교육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글/이예지 기자
'비즈니스 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양보호사의 처우개선 (0) | 2023.07.07 |
---|---|
한국 노동시장 3고(苦) (0) | 2023.07.07 |
"상반기 시니어 알바생 늘었다"…전년비 69.9% 늘어 (0) | 2023.07.06 |
"초복에 집에서 보양한다!"…생닭 매출 16배↑ (0) | 2023.07.06 |
상반기 입사지원율 가장 높았던 업종 1위 'IT/정보통신업' (0) | 2023.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