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익스프레스·테무 등 중국 직구 플랫폼 개인정보 관리 실태 전면 점검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의 국내 시장 점유율이 급증하면서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정부가 중국 직구 업체들의 개인정보 관리 실태를 전면 조사하기로 했다. 공정거래위원회와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를 대상으로 개인정보 처리방침, 국외이전, 안전조치의무 등의 적정성을 점검할 계획이다.
최근 데이터에 따르면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의 국내 이용자 수는 각각 약 858만 명, 823만 명으로 국내 이커머스 시장에서 2위와 4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국내 기업인 11번가와 G마켓을 제치고 급부상한 수치다. 이러한 성장세와 함께 개인정보 유출 우려도 증가하고 있다.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의 개인정보처리방침에 따르면, 수집된 개인정보를 중국 소재 계열사나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특히 '급박한 생명, 신체, 재산의 이익을 위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동의 없이도 제3자에게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조항이 논란이 되고 있다.
소비자 피해도 증가하고 있다.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알리익스프레스 관련 소비자 불만은 올해 1월에만 약 150만 건에 달했다. 이는 개인정보 유출 우려뿐만 아니라 가품, 불량제품 등 다양한 소비자 피해가 발생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정부는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범정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합동 대책을 마련 중이다. 기재부, 산자부, 공정위, 관세청, 식약처 등이 참여하는 이 TF는 이르면 이번 주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또한, '해외직구 종합대책'도 이달 중으로 내놓을 계획이다.
시민단체들도 적극 대응에 나서고 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알리와 테무의 약관법 위반 혐의 등을 공정위에 신고할 예정이며, 이들 기업이 사업목적 이상의 정보를 과도하게 수집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글/최한길 필진기자
'비즈니스 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해 적용된 자산 5천억원 이상 법인 공시 의무 확대로 '기업지배구조 핵심지표 평균 준수율 하락' (0) | 2024.07.10 |
---|---|
프랑스 kyutai 'GPT-4o' 흡사한 AI 음성 비서 'Moshi' 공개 (0) | 2024.07.10 |
알바몬·잡코리아 ‘2024년 임금체불 사업주’ 1차 명단 공개 (0) | 2024.07.09 |
최저임금 본격적 논의 시작... 과연 최적의 임금 수준은 무엇일까? (0) | 2024.07.09 |
예비창업자, 동국대에 신청하세요! '투자 심사역 과정 모집' (0) | 2024.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