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해외한류실태조사' 10명 중 7명은 한류 추천 의향
한국 떠오르는 이미지는 ‘케이팝’, ‘한식’, ‘드라마’ 순
‘오징어 게임’·‘기생충’ 인기 여전…최애 가수는 ‘BTS’
[사례뉴스=김주연 인턴기자] 한국문화콘텐츠를 경험한 외국인들이 한국 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이미지로 케이팝(17.8%)이 8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7일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과 함께 해외 주요 국가의 한류 콘텐츠 이용 현황과 인식을 확인할 수 있는 '2025 해외 한류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케이팝에 이어 한식(11.8%), 드라마(8.7%), 뷰티(6.4%), 영화(5.6%) 순으로 집계됐다. 정보기술(IT)제품/브랜드(5.1%)는 6위를 기록해 2012년도 조사 이후 처음으로 5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한국 문화콘텐츠가 마음에 든다고 응답한 비율은 70.3%를 기록했다. 전년(68.8%)대비 1.5%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조사에 새롭게 포함된 '한국어'에 대한 호감도는 75.4%로 나타나 평균(70.3%)을 웃돌았다. 지역별로는 필리핀(88.9%)이 가장 높은 호감도를 기록했으며, 인도네시아(86.5%), 인도(84.5%), 태국(82.7%) 등에서 높은 한류 호감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류 경험자를 대상으로 자국 내 한국 문화콘텐츠 분야별 인기도를 조사한 결과, 일반인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고, 관련 상품이 판매되고 있는 '대중적 인기' 단계에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음식(53.7%), 음악(51.2%), 뷰티(50.8%), 드라마(49%)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SNS)과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플랫폼을 통해 한국문화를 접하는 사례가 증가하면서 대면으로도 한국 문화콘텐츠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각 분야의 '대중적 인기' 인식률 평균을 보면 2015년 대비 2020년에는 4.4%포인트 상승했고, 2020년 대비 2024년에는 8.2%포인트 상승해 그 상승 폭도 커졌다. 문체부는 이를 통해 한류 경험자의 한국 문화콘텐츠에 대한 인식이 지속해서 확산하고, 그 확산 속도가 더욱 빨라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한국 문화콘텐츠에 대한 추천 의향을 조사한 결과 68.2%가 추천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분야별로는 한국어(78.5%), 예능(75.9%), 게임(75.9%), 드라마(75.4%), 뷰티(75.4%) 순으로 집계됐다.
다만 한류의 높아진 인기와 함께 한류에 대한 부정적 인식도 증가하고 있었다. 한류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 동의하는지 여부에 대해 37.5%가 동의한다고 응답했는데, 이는 작년 대비 4.9%포인트 늘었다. 지역별로는 인도(52.7%), 아랍에미리트(52%) 등이 높게 나타났는데 한류 관심도가 높고 소비가 활발한 곳일수록 부정적 인식에 대한 동의율도 높은 경향을 보였다.
지난해에도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오징어 게임'(9.7%)이 4년 연속 가장 선호하는 한국 드라마 1위를 기록했다. 이어 '눈물의 여왕'(6.5%), '사랑의 불시착'(2.2%)이 2, 3위에 올랐다. '선재 업고 튀어', '지옥에서 온 판사', '엄마친구아들', '내 남편과 결혼해줘' 등 2024년 공개된 신작들도 상위권에 진입하며 주목받았다. 지난해 12월 26일 공개된 '오징어 게임2'는 이번 조사에서 제외됐다.
가장 선호하는 영화는 <기생충>(8.3%)으로 5년 연속 1위를 차지했으며, <부산행>(6.5%)도 여전한 인기를 유지했다. 또한 <파묘>(4.1%)가 새롭게 순위권에 진입했는데 이는 문화적으로 가까운 아시아·태평양(5.9%)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선호 한국 배우로는 '이민호'(7.0%)가 2014년 이후 12년 연속 1위를 기록한 가운데, 2024년 히트작의 주연 배우인 '공유'(2.4%), '김수현'(2.3%), '마동석'(1.5%) 순위가 상승했다.
가수/그룹으로는 '방탄소년단'(24.6%)과 '블랙핑크'(12.3%)가 각각 7, 6년 연속 1, 2위를 차지했고, '아이유'(3.1%), '싸이'(2.2%), '트와이스'(1.8%)가 뒤를 이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1월 29일부터 12월 27일까지 해외 28개국의 한국문화콘텐츠 경험자 2만6천4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방식으로 진행됐다.
문체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류산업진흥 기본법' 시행과 함께 한류산업 진흥을 위한 법적 기반을 마련할 방침이다. 또 한류 종합 박람회를 3차례 개최하고, 한류 상설홍보관을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 개설하는 등 지속 가능한 한류 확산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비즈니스 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사비 압박에 분양가 또 오르나…자재값 상승에 고환율까지 (0) | 2025.04.08 |
---|---|
KT, 콘텐츠 독점 풀고 OTT에 전격 개방...티빙서 ‘신병3’ 본다 (3) | 2025.04.07 |
“소비자 마음 잡아라!”...오르는 커피값에 편의점 ‘천원 커피’ 판매량 44.7% 증가 (0) | 2025.04.07 |
'토허제' 풍선효과?…신축 국평 30억 넘은 ’이곳‘ (3) | 2025.04.07 |
트럼프 ‘아메리칸 퍼스트’ 관세 정책...발등 불 떨어진 ‘불닭’ (0)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