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4) 썸네일형 리스트형 아시안허브 최진희 대표 “교육은 이주민들이 자립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도구” 다양한 이주민을 아우르는 교육과 지원교육의 중요성과 혁신적인 지도AI 기술 도입, 다문화 교육의 새 지평"이주민의 가능성을 열다" 아시안허브 최진희 대표1월 13일, 행복한 다문화 사회 정착을 위한 다문화 콘텐츠 전문 기업 아시안허브의 최진희 대표를 만났다. 아시안허브는 단순히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이 아니라, 이주민의 급증과 더불어 사회적 미션을 수행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곳은 이주민을 대상으로 한 언어 교육, 사회 적응 지원,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해 함께하는 사회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KOICA 해외봉사단원으로의 기념촬영을 하고 있는 아시안허브 최진희 대표. (사진출처: 아시안허브)2004년, 최진희 대표는 KOICA 해외봉사단원으로 캄보디아에 파견되었다. 시엠립 빌브라이트대학에서 .. 다문화 가정에 대한 인식, 어느 정도 왔을까? 10명 중 8명, “앞으로 다문화 국가 될 것 같아다문화 가정에 대한 차별적 시선 존재하는 편이지만, 인종에 대한 선입견 소폭 감소다문화 사회에 대해 노동력 측면에서 긍정적 평가 높은 편 평소 ‘다문화 가정’ 접하는 경우 많아져10명 중 8명, “앞으로 다문화 국가 될 것 같아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trendmonitor.co.kr)가 전국의 만 19~59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2024 다문화 사회(가정) 관련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문화 가정에 대한 차별적 시선이 여전히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이 빨라지고 있는 만큼 이러한 인식이 다소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점은 고무적인 결과였다. 먼저, 요즘 일상생활에서 외국인들을 자주 접한다는 응답이 .. 대한민국 다양성 포용: 미국과 중국의 사례에서 배운다 단일 민족 사회에서 다문화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대한민국의 과제와 해결책 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문화와 민족이 공존하는 것은 많은 나라에서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하지만, 대한민국은 상대적으로 단일 민족 사회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다른 문화나 민족을 받아들이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미국과 중국의 사례를 통해 대한민국이 다양성을 받아들이는 방법을 탐구하고자 한다.미국은 다양한 민족과 인종이 함께 살아가는 다민족 국가다. 2020년 미국 인구조사 결과에 따르면, 백인은 전체 인구의 약 60.1%를 차지하며, 히스패닉계는 18.5%, 흑인은 12.2%, 아시아계는 5.6%를 차지한다. 이러한 다양한 인종 구성은 미국 사회가 다양한 문화와 관점을 존중하고 받아들이는 기반이 된다.중국 역시 다.. 우리나라 전체 학생수 41% 줄어…한국 내 다문화 학생 수 10년 사이 3.6배 증가 우리나라 전체 학생수(유치원~고등학생), 한 세대 만에 41% 줄어 한국 내 다문화 학생 수…10년 사이 3.6배 증가 우리나라 전체 학생수가 한 세대 만에 41%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1월 4일 목회데이터연구소 주간 리포트 ‘넘버즈’ 제 174호에서는 ‘유초중고 학생 수 감소 실태’이라는 제목으로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아래는 조사 결과에 대한 내용이다. 1. 우리나라 전체 학생수(유치원~고등학생), 한 세대 만에 41% 줄었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의 2022년 교육기본통계 조사 결과 발표 자료(2022.08)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유치원생부터 고등학생까지 ‘전체 학생 수’는 올해 588만 명으로 집계됐다. 보통 한 세대를 30년 단위로 볼 때, 30년 전인 1990년(997만 명) 대비 20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