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대한민국

(5)
역사적인 전환점을 맞이한 대한민국 글/고도환 기자과거의 영광이 헛되지 않기를 바라며, 미래 세대의 현실이 찬란하기를 바라며처음 미국을 방문했을 때도 마약 중독자를 만난 적이 있습니다. 당시 한 중독자가 저와 함께 있던 교수님을 찾아와 마약에서 벗어나고 싶다며 간절히 도움을 요청했는데, 그 간절한 눈빛이 아직도 기억에 남습니다. 하지만 며칠 뒤 그는 다시 마약에 취한 채 나타났습니다.뇌가 심각하게 망가진 듯 “나는 햄버거를 좋아해”라는 말을 반복하며 혼란스러운 모습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이후 또다시 찾아와 마약을 끊고 싶다고 했지만, 결국 다시 마약에 빠지는 악순환을 반복했습니다. 스스로 끊고 싶어도 도저히 벗어날 수 없는 상황이었습니다.3년 전 샌프란시스코에 방문했을 때에는 이러한 사람들이 길거리에 널려 있었습니다. 그 광경을 보며 “우..
대한민국 다양성 포용: 미국과 중국의 사례에서 배운다 단일 민족 사회에서 다문화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대한민국의 과제와 해결책 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문화와 민족이 공존하는 것은 많은 나라에서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하지만, 대한민국은 상대적으로 단일 민족 사회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다른 문화나 민족을 받아들이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미국과 중국의 사례를 통해 대한민국이 다양성을 받아들이는 방법을 탐구하고자 한다.미국은 다양한 민족과 인종이 함께 살아가는 다민족 국가다. 2020년 미국 인구조사 결과에 따르면, 백인은 전체 인구의 약 60.1%를 차지하며, 히스패닉계는 18.5%, 흑인은 12.2%, 아시아계는 5.6%를 차지한다. 이러한 다양한 인종 구성은 미국 사회가 다양한 문화와 관점을 존중하고 받아들이는 기반이 된다.중국 역시 다..
과거와 미래를 바꾸는 오늘의 비밀은 '사랑'이다. 대한민국은 왜 괴물이 되었는가? '스위트홈'이라는 웹툰을 원작으로 한 드라마가 한때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이 작품은 사람들이 괴물로 변해가는 세계에서 인간성을 유지하며 살아남기 위한 생존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이 드라마에서 눈에 띄는 중요한 설정 중 하나는 각 괴물이 가진 독특한 특성입니다. 이 특성들은 인간일 때의 강렬한 욕망이 괴물의 형태로 발현된 것으로, 식욕, 분노, 관음증, 모성애 등의 욕망이 각기 다른 괴물의 모습으로 나타납니다. 이러한 설정은 모든 사람의 마음속에 잠재된 괴물을 상징하며, 지금 현재 우리 사회가 괴물화되어가고 있음을 풍자하고 있는 듯합니다. 이를 증명하듯 우리나라는 OECD 자살률 1위와 OECD 출산율 38위(꼴찌)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우리 사회가 얼마나 지..
터키 카스타모누 난민케어 김상원 센터장, 국제 이민자의 날 맞아 ‘평화상’ 수상 국제 이민자의 날 행사 맞아 평화상을 수상한 김상원 센터장 김상원 센터장, 터키 거주 시리아 난민들의 주거 안정과 지원에 기여 김상원 센터장, 6.25전쟁 참전용사분에게 감사의 마음 전해 “앞으로도 협회와 함께 활동을 이어갈 예정” 지난 12월 18일 국제 이민자의 날 행사를 맞이해 교칸 카라만 주정부 이민국장이 카스타모누 난민케어 센터 김상원 센터장에게 평화상을 수여했다. 김상원 센터장은 터키에서 카스타모누 난민케어 센터 센터장으로 터키 거주 시리아 난민들의 주거 안정과 지원에 기여했기에 본 상을 수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뿐만 아니라 그는 터키를 찾는 관광객들에게도 터키 문화와 역사를 알려줘 터키 문화에 기여를 했다. 시상식 이후 김상원 센터장은 터키 주관리국 관계자들과 함께 재향군인회 카스타모누 지부..
"삶을 의미있게 만드는 것", 경제선진국 17국 중 한국 유일하게 '물질적 풍요'가 1위 1. “삶을 의미있게 만드는 것”, 경제선진국 17개국 중 한국만 유일하게 ‘물질적 풍요’가 1위 •최근 미국 여론조사 기관 퓨리서치센터가 발표한 17개 경제선진국을 대상(18,850명)으로 실시한 ‘삶의 가치’에 대한 조사에 따르면, 17개국 중 유일하게 한국이 ‘삶을 의미있게 만드는 것(What Makes Life Meaningful?)’으로 ‘물질적 풍요(material well-being)’를 1순위로 꼽았다. •이는 17개국 중 다수인 14개국이 ‘가족’을 1순위로 꼽은 것과 매우 대조적이다. 한국은 두 번째가 ‘건강’이었고, ‘가족’은 세번째였다. ● “삶을 의미있게 만드는 것”, 17개국 전체적으로는 ’가족‘이 압도적으로 높고 다음으로 직업, 물질적 풍요 순 •퓨리서치센터가 ‘삶을 의미있게 ..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