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락 (2) 썸네일형 리스트형 기업 생산성을 끌어올리는 3가지 피드백 방법? 글/이성현 기자가인지TV, 효과적인 피드백 방법에 관한 영상 게시효과적인 피드백을 위해서는 맥락 파악, 양가적 원인 규명, 명확한 목표와 그 결과값 규명 필지난 8월 20일 가인지TV 유튜브 채널에서 ‘시간과 에너지를 낭비하는 피드백은 이제는 그만’이라는 제목의 ‘쇼미더지식’ 콘텐츠 영상이 게시됐다. 영상에서는 가인지컨설팅그룹 김경민 대표와 홍효인 컨설턴트가 효과적인 피드백 방법에 관해 이야기했다.홍효인 컨설턴트는 체계가 변화하면서 신입사원들이 여럿 입사한 기업을 상담한 경험을 이야기했다. 그 과정에서 “조직 내에서 이전부터 너무나 당연했던 클레임의 중요성을 서로 공유하지 못하다 보니 사원은 팀장의 피드백을 잔소리로 받아들이고, 팀장은 조언을 반영하지 않는 팀원의 태도에 답답함을 느꼈다”며 갈등이 고조되.. 직장인 89.7% “현대인의 문해력 수준 낮아졌다” 인크루트, 한글날 맞이 직장인 문해력 설문조사 실시 문해력이 낮아진 이유? ‘유튜브, 숏폼 등 영상 시청 증가’ 때문 직장인 10명 중 6명, 원본보다 ‘요약형 정보’ 선호최근 문해력이 사회 이슈로 급부상하면서 직장에서도 보고서나 일의 맥락을 이해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직장인들이 늘어나고 있다.HR테크기업 인크루트(대표 서미영)가 10월 9일 한글날을 맞아 직장인들의 문해력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여러분의 문해력은 어느 수준입니까?’ 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조사는 직장인 909명을 대상으로 9월 30일부터 10월 3일까지 진행했으며 95% 신뢰 수준에 표본오차 ±2.66%P이다.먼저 직장인들에게 ‘현대인들의 문해력 수준이 낮아졌는지’ 물었다. 응답자의 89.7%가 ▲예를 답해 약 10명 중 9명이 현대..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