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보상

(6)
보상 없는 성과, 직장인의 ‘직춘기’를 부른다 직장인들, 업무에 대한 ‘인정’ 욕구 높은 편단, ‘충분한 보상’ 필요하단 인식 강해직장생활 ‘스트레스’ 및 ‘번아웃’ 수준 높아 책임 회피상사에 대한 스트레스 높은 편10명 중 9명, “직춘기, 직장생활에서 누구나 겪는 감정”직춘기의 이유, ‘불만족스러운 보상’, ‘인간관계의 스트레스’ 주로 꼽아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trendmonitor.co.kr)가 전국 만 19~69세 직장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직장인 직춘기 관련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업무 성과에 대한 적절한 보상이 업무 몰입도를 높이는 요소로 평가되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또한 직장생활에서의 스트레스와 피로도가 높게 평가된 가운데, 업무에 대한 권태감을 의미하는 ‘직춘기’ 현상이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
직장인 70%는 이직 고려 중, 가장 큰 이유는? 연령대 낮을수록 이직율 계획 비율 높아이직 이유, 금전 보상 불만족이 가장 많아6월 25일 목회데이터연구소 '일반사회통계' 제 246호에서는 '직장인의 이직트렌드'라는 제목으로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출처: 이미지투데이20~40대 직장인 10명 중 7명, 직장 이직 고려 중최근 전국 20~40대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근로자 이직 트렌드 조사’ 결과(한국경영자총협회)가 발표돼 이를 살펴본다. 현 직장에서 다른 직장으로의 이직을 계획하고 있는지를 물은 결과, 20~40대 직장인 10명 중 7명(70%)은 ‘직장 이직을 고려 중’이라고 응답했으며, 연령대가 낮을수록 이직을 계획하고 있는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출처: 목회데이터연구소이직 이유, ‘개인의 성장’보다 ‘연봉 인상’이직을 계획하는 직장인들..
'보상'은 '일을 즐겁게 하는 요소'입니다 경영자의 취약과목 '보상' 보상은 많은 경영자들의 고민이다. 직무만족도 측정에서도 어느 기업이든 예외 없이 보상에 관한 점수가 가장 낮다. 보상은 다루어야 할 주제가 많다.이번 칼럼에서는 보상에 관한 두 가지 오해를 이야기 하면서 보상에 관한 원칙을 살펴보자.보상은 동기부여?보상에 관한 첫 번째 오해는 보상은 ‘동기부여’라는 생각이다. 보상은 동기부여가 아니다. 예를 들어 초등학생인 자녀가 수학 공부를 한다. 이 때 엄마가 말하기를 70점 이상 맞으면 스마트폰을 사주기로 한다. 열심히 공부한다. 그리고 스마트폰을 받는다. 엄마는 또 다시 말한다. 80점 이상이면 아이패드를 사주기로 한다. 아이는 아이패드를 받는다. 엄마는 또 다시 말한다. 90점 이상이면 노트북을 사주기로 한다. 이런 보상의 반복은 결국..
대학생이 일하고 싶은 기업은? 삼성전자’, ‘LG에너지솔루션’, ‘네이버’… 부문별 1위 올라 전국 대학생 800명 대상 설문… 총 10개 업종에서 1위 선정 '일하고 싶은 기업’ 이유는? ‘급여 및 보상제도’ ‘선도기업 이미지’ 중요해 HR테크 기업 인크루트(대표 서미영)가 전국 대학생 800명을 대상으로 ‘2024 대학생이 뽑은 가장 일하고 싶은 업종별 기업’을 조사했다. 인크루트는 지난 2004년부터 21년간 ‘대학생이 뽑은 가장 일하고 싶은 기업’ 설문조사를 진행해 왔다. 올해는 3월 공채 시즌을 앞두고 ‘대학생이 뽑은 가장 일하고 싶은 업종별 기업’ 조사를 시행해 업종별로 보다 자세한 일 하고 싶은 기업에 대해 알아봤다. 먼저 구직자들에게 업종별로 일하고 싶은 기업을 뽑고, 그 이유에 대해 물었다. 한국 경제의 핵심인 ‘전기..
승진과 보상은 구분해야 합니다. 승진은 상으로 주는 게 아닙니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경영자들은 보상을 해줘야 할 때와 포상을 해야 할 때, 그리고 승진을 시켜줘야 할 때를 나눠야 합니다. 글/ 이예지 기자
OKR에 대한 조직 내 저항, 'First Runner'의 성공이 답이다! OKR을 도입하려면, 조직 내 권력구조, 조직 내 저항, 하이어라키와 평가보상의 방향성을 결정해야 First Runner가 OKR 방식으로 성과를 낼 때, OKR의 확산이 탄력을 받을 수 있어 13일 저녁 7시, '제2회 대한민국 OKR 코치 포럼'이 열렸다. 조직에서 OKR을 도입할 예정에 있거나, 실행하고 있는 OKR 코치들 20여명이 줌(zoom)에 모여 발제자의 발표를 듣고, 토론하는 시간을 가졌다. 포럼은 세가지 세션으로 진행되었다. 아래는 세번째 세션 '제도적 측면에서 무엇을 결정할 것인가?'의 발표 및 토론 내용이다. (발제자: 한결 코치(가인지컨설팅그룹)) 조직내 권력구조, 조직 내 저항, 하이어라키와 평가보상이라는 세가지 제도적 측면을 살펴봐야 한다. 리더는 탑다운 방식으로 사용하던 권력..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