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상 없는 성과, 직장인의 ‘직춘기’를 부른다
직장인들, 업무에 대한 ‘인정’ 욕구 높은 편단, ‘충분한 보상’ 필요하단 인식 강해직장생활 ‘스트레스’ 및 ‘번아웃’ 수준 높아 책임 회피상사에 대한 스트레스 높은 편10명 중 9명, “직춘기, 직장생활에서 누구나 겪는 감정”직춘기의 이유, ‘불만족스러운 보상’, ‘인간관계의 스트레스’ 주로 꼽아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trendmonitor.co.kr)가 전국 만 19~69세 직장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직장인 직춘기 관련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업무 성과에 대한 적절한 보상이 업무 몰입도를 높이는 요소로 평가되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또한 직장생활에서의 스트레스와 피로도가 높게 평가된 가운데, 업무에 대한 권태감을 의미하는 ‘직춘기’ 현상이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
OKR에 대한 조직 내 저항, 'First Runner'의 성공이 답이다!
OKR을 도입하려면, 조직 내 권력구조, 조직 내 저항, 하이어라키와 평가보상의 방향성을 결정해야 First Runner가 OKR 방식으로 성과를 낼 때, OKR의 확산이 탄력을 받을 수 있어 13일 저녁 7시, '제2회 대한민국 OKR 코치 포럼'이 열렸다. 조직에서 OKR을 도입할 예정에 있거나, 실행하고 있는 OKR 코치들 20여명이 줌(zoom)에 모여 발제자의 발표를 듣고, 토론하는 시간을 가졌다. 포럼은 세가지 세션으로 진행되었다. 아래는 세번째 세션 '제도적 측면에서 무엇을 결정할 것인가?'의 발표 및 토론 내용이다. (발제자: 한결 코치(가인지컨설팅그룹)) 조직내 권력구조, 조직 내 저항, 하이어라키와 평가보상이라는 세가지 제도적 측면을 살펴봐야 한다. 리더는 탑다운 방식으로 사용하던 권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