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포인트 (2) 썸네일형 리스트형 “못 받은 건보료 3560억” 공무원 복지포인트 특혜 논란에 일반 근로자만 서럽다 공무원 복지포인트 5년 간 5조, 못 거둔 건보료 3560억일반 근로자와 공무원 모두 고정급 성격의 복지포인트…공무원 복지포인트만 비과세 대상복지포인트, 진료비, 숙박시설 이용, 영화 관람에 현금처럼 사용 가능[사례뉴스=김주연 인턴기자] 공무원이 최근 5년간 수령한 5조원이 넘은 복지포인트를 사실상 급여로 볼 수 있지만 건강보험료 부과 대상에서는 제외되면서 면제받은 건강보험료(이하 건보료)가 약 3560억원에 달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국민건강보험공단2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조국혁식당 김선민 의원이 인사혁신처와 행정안전부에서 받은 공무원 복지포인트 배정현황 자료를 건강보험공단에 문의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국가직(2020∼2024년)과 지방직(2019∼2023년) 공무원에게 지급된 복지.. 모든 세대가 좋아하는 명절 선물은 ‘현금’ Z세대는 ‘디저트’ 순위 높아 선호하는 현금성 상품권 종류는 세대별로 다르게 나타나 직장인∙프리랜서가 회사에서 받은 명절 선물 1위는? 명절 선물을 중고 거래해도 괜찮을까? 세대별 인식 살펴보니 민족 대명절 설이 10여 일 앞으로 다가왔다. 대학내일20대연구소의 ‘여가(2023년 12월)’ 데이터에 따르면 Z세대부터 X세대까지 모든 세대가 1년 중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념일로 명절을 꼽았다. 소비자들이 명절을 중요하게 여기는 만큼 각종 업계도 분주하다. 유통업계에서는 설날 선물세트를 앞다투어 내놓고, 각종 커머스 플랫폼에서는 설날 프로모션으로 한창인 모습이다. 이에 대학내일20대연구소에서는 이번 연구를 통해 세대별로 명절을 보내는 행태에 대해 자세히 살펴봤으며, 특히 명절하면 빼놓을 수 없는 ‘명절 선물’에 대한 인식을 짚었다.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