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자발적취준생

(2)
2월 대학 졸업자 상당수 자발적 취준생, 그 이유는? 취업 눈높이를 낮추기보단 원하는 기업에 합격하고 싶은 욕구가 더 커미취업자중 약 40%는 자발적 취준생57.5% 최종 합격한 회사에 입사 하지 않아올해 2월 대학 졸업자들 중 상당수가 아직 취업에 성공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메타 커리어 플랫폼 잡코리아(대표이사 윤현준)가 2024년 2월 대학 졸업자 674명을 대상으로 을 조사한 결과, 설문 참가자들 중 ‘현재 취업에 성공했거나 곧 입사 확정된 곳이 있다’고 답한 이들은 39.8%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60.2%는 ‘아직 구직활동 중’이라고 답했다.출처: 잡코리아잡코리아는 아직 취업에 성공하지 못한 이들에게 하반기 취업 계획이 무엇인지 질문했다. 그러자 취업 눈높이를 낮추기 보다는 원하는 기업에 합격할 때까지 구직활동을 계속하려는 이들이 더..
취준생과 직장인, 직장 고를 때 가장 중요한 기준은? 연봉 등 경제적 보상이 1위이직을 고민하게 만드는 것도 역시 경제적 보상에 대한 불만물가상승과 경기둔화 등으로 수입을 중시하는 기조 형성우리나라 취준생과 직장인들은 입사하고자 하는 회사를 고를 때 무엇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할까.커리어 플랫폼 사람인(대표 황현순)이 취준생 및 직장인 3,365명을 대상으로 ‘직장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조건’을 조사한 결과, ‘연봉 등 경제적 보상’이 1위(37.1%)로 집계됐다. 다음으로, ‘고용 안정성’(16.9%), ‘직무 적합성’(14.4%), ‘워라밸 보장’(13.5%), ‘성장 가능성’(6.1%) 등의 순이었다.출처: 사람인특히, 고용 안정성을 꼽은 응답자(569명)의 10명 중 8명(80.8%)은 최근 불경기로 기업들의 구조조정이 늘어난 것이 고용..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