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컨슈머인사이트

(8)
자동차 AS 과정별 1등 브랜드는? 글/이성현 기자렉서스, ‘첫 통화 예약률’ 최고...‘동일 문제 재발’은 최저저렴한 수리비용과 할인 제공에서는 GM 코리아 1위볼보는 임의정비 거의 없고 ‘정비상황 수시 확인’ 최고정비오류는 푸조, 과잉정비는 제네시스가 제일 적어자동차 리서치 전문기업 컨슈머인사이트가 11월 13일 제 24차 ‘연례 자동차 기획조사’(매년 7월 10만명 대상)를 발표했다. 이 리포트는 지난 1년간(’23년 7월~’24년 6월) 직영 정비 사업소에서 애프터서비스(AS)를 받은 소비자 1만2216명에게 제공받은 서비스 경험을 묻고 이를 각 단계별로 비교하여 프로세스별 최우수 브랜드를 찾아 이를 벤치마크 대상으로 공유하고 현실적인 개선 목표의 설정을 돕고자 하는 취지라고 한다.Process별 최우수 브랜드는?1. 서비스 예약 ..
‘그랑 콜레오스’ 구입의향 ‘액티언’ 앞질렀다 출시 초기 상승세 약했으나 이례적 2차 상승지난 6주간 구입의향 계속 오르고 상승폭 커져하락세 접어든 중형 SUV 경쟁모델 액티언 추월출시 전후 동일 시점 기준으로도 처음으로 역전르노코리아의 중형 SUV ‘그랑 콜레오스’가 소비자 구입의향에서 이례적인 뒷심을 보이고 있다. 6주 연속 구입의향이 상승해 14%대를 찍으면서 한 발 앞서 출시된 경쟁 모델 KG모빌리티 ‘액티언’을 처음으로 앞질렀다.자동차 리서치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는 2021년 11월 시작한 신차 소비자 초기 반응(AIMM : Auto Initial Market Monitoring) 조사에서 앞으로 2년 내 신차 구입의향이 있는 소비자(매주 500명)에게 출시 전후 1년 이내(출시 전, 출시 후 각각 6개월)의 국산·수입 신차 모델(페이스 ..
중국 브랜드 전기차 구입의향? 10명 중 9명은 ‘없다’ 2년 내 자동차 구입계획자 9%만 ‘구입의향’ 구입의향 이유 ‘가격조건’이 압도적으로 높고 구입의향 없는 이유는 ‘배터리 문제’가 절반 국산 대비 가격 쌀수록 구입의향 높아지지만 5명 중 2명은 ‘아무리 싸도 중국 차 안 산다’ 6개월 내 구입계획자 BYD 구입의향 유독 높아자동차 구입 예정자 중 중국 브랜드 전기차를 선택지로 고려하는 사람은 10명 중 1명에 불과했다. 이들이 꼽은 이유는 단연 ‘가격 조건’이었는데, 국산 대비 차량 가격이 낮을수록 구입을 고려하겠다는 비율이 높았다. 다만 전체 응답자 5명 중 2명은 가격이 아무리 싸도 구입하지 않겠다고 할 정도로 거부감이 강했다.전기차 고려하는 소비자는 구입의향 2배‘귀하는 중국 전기차를 구입할 의향이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있다’는 응답은 9%에 ..
해외여행, 왜 일본으로 몰려가는가? 일본, 먹거리 살거리 등 세계 1위 여행 콘텐츠 갖춰 물가, 청결 등 인프라 수준도 높아 가심비 최고 여행 비용은 아시아 평균 수준과 별 차이 없어 막강 일본 극복 못하면 국내 관광산업 미래 암울 여행자-현지인-지자체 윈윈의 상생모델 찾아야 해외 여행지로 일본이 폭발적으로 뜨고 있다. 한국인 여행자는 일본을 ‘먹거리’와 ‘살거리’, ‘물가·상도의’와 ‘청결·위생’에서 세계 1위로 평가했다. 여행 비용도 아시아 평균과 별 차이 없는 수준으로 저렴했다. 뜨는 일본이 국내 관광산업을 위협하고 있다. 여행리서치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는 매년 9월 수행하는 해외여행지 만족도 조사에서 최근 1년(’22년 9월~’23년 8월) 내 해외여행을 다녀온 9375명에게 그 여행지에 얼마나 만족했는지, 여행 콘텐츠와 여행인프..
네카토 VS 삼성페이...온라인 간편결제 최종승자는? 네이버페이, 주이용률 20%로 1위...3년만에 1.5배 주이용률 2위 삼성페이, 이용자 만족도는 단독 선두 카카오페이 3위 선전...후발주자 토스, 상승세 최고 빅테크·핀테크 진영, 금융·카드 진영 턱밑까지 근접 이동통신 전문 조사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매년 2회(상·하반기 각 1회, 회당 표본규모 약 4만명) 실시하는 ‘이동통신 기획조사’ ’23년 하반기 조사(9~10월)에서 14세 이상 휴대폰 사용자 3435명에게 온라인 간편결제 이용 현황을 묻고 사업자별로 비교했다. 서비스별 점유율 : 관심 모았던 애플페이 점유율은 아직 미미 주이용률은 네이버페이가 20%로 단독 선두를 달리고 삼성페이(13%), 카카오페이(10%)가 뒤따르고 있다. 네이버페이는 ’20년의 13% 점유율에서 3년만에 1.5배(+7%..
온라인쇼핑 멤버십 이용률 1위 ‘쿠팡’…이용자 불만 1위는? 소비자 2명 중 1명이 평균 1.5개 쇼핑 멤버십 서비스 이용 중 쿠팡 로켓와우 이용률 31%로 발군...2위는 네이버 플러스(20%) 이어 신세계유니버스(14%), 우주패스(8%) 순...그밖엔 2% 이하 이용률과 달리 가격대비가치·만족도 평가 차이는 크지 않아 로켓와우 만족 이유 ‘배송’ 압도적…불만족 이유는 ‘요금’ 가장 커 이동통신 전문 조사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매년 2회(상·하반기 각 1회, 회당 표본규모 약 4만명) 실시하는 ‘이동통신 기획조사’에서 14세 이상 휴대폰 사용자 3322명에게 온라인쇼핑 멤버십 이용 현황, 가격 대비 가치 인식, 서비스 만족도, 만족·불만족 이유를 묻고 서비스별로 비교했다. 소비자 과반수가 1인당 평균 1.5개의 온라인쇼핑 멤버십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여행비의 8배" 그럼에도 해외여행 가는 이유는? 여행기간 평균 국내 2.00박, 해외 6.21박으로 3배 평균비용 국내 23.8만원, 해외 183.8만원으로 7.7배 코로나 후 해외여행비 30% 올랐어도 ‘더 쓸 것’ 늘어 이유는 해외여행 만족도가 국내여행보다 높은 탓 여행 리서치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2015년부터 수행하는 ‘주례 여행 행태 및 계획 조사’에서 다녀온 여행비로 얼마나 지출했는지, 향후 1년간의 지출에 어떤 변화가 있을지를 국내와 해외로 나눠 묻고, ’17년 이후 7년간의 결과를 코로나 발생 전후를 중심으로 비교했다. ‘여행비 지출의향’은 향후 1년간 여행비용을 지난 1년보다 ‘더 쓸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이다. 국내 숙박여행(평균 2박3일)의 1인당 경비는 코로나전인 2019년 평균 21.2만원이었으나 코로나 발생 후 2021년 ..
“남들은 어떤 은행을 주거래해요?” 신규 거래 쉬워진 은행, 1인당 평균 4.4개 은행 이용… 30대 여성 최다 ‘주거래’ 은행은 KB국민은행, NH농협은행, 신한은행… 순 인터넷은행, 거래율 크게 성장했으나 ‘주거래율’은 4%이하로 낮아 여행서비스 제공하는 하나머니, 확보고객 지속 성장 주목 금융소비자 한 명이 거래하는 은행은 몇 개일까? 7~11월 응답자 13,567명의 금융권역별 이용자 비율을 분석한 결과, 은행 100%, 증권사 74%, 신용카드사 99%, 손해보험사 84%, 생명보험사 82%가 이용 중 이용자는 평균 4.4개의 은행을 이용해 비교 권역 중 가장 많았으며, 손해보험은 1.8개로 가장 적었다. 금융거래에 관심 많은 30·40대, 임금근로자가 더 많은 은행과 거래 출범 6년차 인터넷은행이 보편화되고 모바일 금융서비스로 ..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