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커머스 (3) 썸네일형 리스트형 정용진도 “퀵커머스 전쟁” 참전...커머스 시장 새바람 불까 기존 쓱배송 ‘쓱 주간배송’으로 리브랜딩CJ대한통운과 협업 통해 당일배송 확대명확한 도착 시점 예고로 고객 편의 높일 것[사례뉴스=김주연 인턴기자] SSG닷컴이 기존 ‘쓱배송’ 브랜드를 전격 개편한다. 도착 시점을 내세운, 고객의 직관적인 이해를 돕는 브랜드로 탈바꿈한다.SSG.COM '쓱배송' 리브랜딩[출처:SSG닷컴]SSG닷컴은 쓱배송을 쓱닷컴 장보기 배송 서비스 전체를 아우르는 통합 브랜드로 리브랜딩한다고 18일 밝혔다. 이에 따라 기존 당일배송을 지칭하던 쓱배송은 ‘쓱 주간배송’으로 이름을 바꾼다. 모바일 앱에선 ‘주간배송’으로 노출된다.쓱 주간배송은 대형마트 업계 1위 이마트(139480)의 신선식품 등을 지역별로 오후 1~2시까지 주문하면 당일 받아볼 수 있다. 주문일 기준 3일 후까지 원하는.. 빠른 배송 시장 사이에서 느린가치를 추구하는 슬로우커머스의 등장 유통업계의 새로운 경쟁력 '누가 더 신속 정확하게 배송하느냐' 대형마트와 대형 포털은 물론 대기업 리테일 업체, 배송중개업체까지 뛰어든 퀵커머스 시장 계속해서 확장되고 있는 퀵커머스 시장 이후 '느긋한 배송'을 장점으로 내세은 슬로우커머스 시장 등장 퀵커머스(Qucik Commerce) : 온라인 전자상거래를 의미하는 이커머스에 시간의 개념을 더한 것으로 고객들에게 상품을 얼마나 빠르게 배송하느냐를 놓고 승부한다는 의미의 신조어. 유통업계에서 주목받는 서비스는 새벽 배송이였지만 낮은 수익서의 문제로 사라지고, 새벽 배송을 대체하며 나타난 퀵커머스는 많은 인기를 얻었다. 편의점 업계까지 퀵커머스 시장으로 뛰어들며 경쟁이 심화되었고, '누가 더 신속 정확하게 배송하느냐'가 유통업계 시장에서 주요 경쟁력이 되.. 이커머스를 넘어 이젠 퀵커머스의 시대 세계 퀵커머스 시장 규모, 2030년까지 4480억유로(약 600조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배민, 쿠팡 등 국내 전통 유통 대기업들도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는 퀵커머스 산업 퀵커머스란 quick + commerce 라는 뜻으로 유통업계에서 떠오르고 있는 새 키워드다. 퀵커머스는 생필품과 식료품을 주문하는 즉시 배송이 시작되고, 단시간 내에 도착하는 형태의 서비스를 의미한다. 고객이 상품을 주문하면 평균 15분~1시간 내 상품을 배송해주는 즉시 배송 시스템이다. 배민과 쿠팡의 퀵커머스 산업 배민은 국내 퀵커머스의 원조 격이다. 그 시작은 음식 배달 서비스 플랫폼이었다. 배달이 주 서비스었던 배민은 2018년 11월에 공산품 배달 서비스인 배민마켓을 론칭하고 그 다음해 11월에 B마트를 선보였다. B마트..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