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이성현 기자
‘만 나이 통일 정책’ 시행 후 1년, “여전히 헷갈려”
“‘세는 나이’ 보편화 됐으면 좋겠다”는 니즈 소폭 증가해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전국 만 13~69세 남녀 1,200명을 대상으로 ‘2024 만 나이 통일 정책 관련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만 나이 통일’ 정책 시행 이후에도 나이 계산법 혼용으로 불편함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만 나이 통일’ 정책의 필요성을 높게 평가하면서도 해당 정책이 ‘세는 나이’를 대체하기까지는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다. 또한 그보다 먼저 ‘나이’에 대한 선입견과 고정관념부터 바꿔야 한다는 인식이 뚜렷한 모습을 살펴볼 수 있었다.
우선, 지난 해(2023년) 6월 시행된 ‘만 나이 통일’ 정책에 대해 자세하게 알고 있는 응답자(53.8%)가 적지 않고, 실제로 만 나이를 사용하는 빈도가 2022년 조사 대비 소폭 증가한 결과를 보였다(20대 4.8% → 19.5%, 30대 8.8% → 24.5%, 40대 9.2% → 30.0%, 50대 22.8% → 36.5%). 단, 그럼에도 평소 자신의 나이를 얘기할 때는 ‘세는 나이’를 사용하는 비율(60.8%)이 압도적으로 높은 수준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전체 응답자의 상당수가 자신의 나이를 말할 때 ‘세는 나이’와 ‘만 나이’의 개념이 헷갈렸던 경험이 있고(62.9%, 동의율), 지인이나 동료 등을 부르는 호칭이 ‘만 나이 통일’ 이전 대비 달라지지 않았다(73.1%)고 평가하는 경우가 많아 ‘만 나이 통일’ 정책이 적지 않은 혼선이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시행 후 1년 이상의 시간이 지났지만, 여전히 나이 계산법이 혼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관습적으로 사용해 오던 ‘세는 나이’가 일상에 깊게 자리 잡고 있다 보니, 정책적 효과가 더디게 느껴지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한국 사회에서는 ‘만 나이’, ‘세는 나이’, ‘연 나이’ 등 3개의 나이 셈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는데, 계산 방법에 따라 나이가 3개가 되다 보니 혼란스러움을 느끼는 응답자가 상당수였다(72.3%, 동의율). 이처럼 계산법 혼용에 따른 불편함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주요 연령대를 중심으로 기존의 ‘세는 나이’가 다시 보편화 될 필요가 있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는 점이 눈에 띄었다(20대 28.0% → 41.0%, 30대 26.8% → 34.0%, 40대 31.6% → 39.0%, 50대 29.2% → 31.5%, 60대 17.5%). ‘만 나이’ 통일을 통해 나이 계산법의 일관성을 높이려는 정책적 목표와는 달리, 사회적 혼선과 불편함은 아직까지 잘 해소되지 않는 것으로 풀이된다.
*기사의 전체 내용이 궁금하다면?
'비즈니스 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네 버스 대기 시간을 평균 110분에서 10분 아래로 줄인다? (4) | 2024.11.27 |
---|---|
김은지 PD ‘흑백요리사’ 성공비결? “전형성 위에 기억에 남고 떠들고 싶은 킥 추가” (0) | 2024.11.27 |
독서율 저하 문제…‘이것’통해 해결할 수 있다! (2) | 2024.11.27 |
토스, 확보고객 비율 부동의 1위 지켰으나 연중 최저치 (1) | 2024.11.27 |
첼시 제안 거절, 토트넘 합류 이유? 대한민국 캡틴 손흥민이 있기에 (0) | 2024.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