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 사례

강남 집값 반토막에 부동산 투자 급물살 지역 어디?

728x90
반응형
SMALL
토허제 최대 수혜 지역 송파도 확대 지정엔 '타격'
잠실 아파트 토허제 지정 후 5일 만에 3억 급락
토허제 영향, 풍선효과 우려 지역은 집값 상승

[사례뉴스=김주연 인턴기자] 서울시가 토지거래허가구역을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로 확대 지정하면서 한 주 새 집값이 타격을 받았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로 가장 큰 수혜를 입은 송파구 집값이 마이너스로 전환하는 등 강남 전반적인 상승 폭이 줄어들었다.

[출처:이미지투데이]

27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달 넷째 주(24일) 기준 서울 집값은 전주보다 0.11% 상승하는 데 그쳤다. 전주(0.25%) 상승 폭과 비교하면 반토막 수준으로 축소됐다. 

서울시는 지난달 '잠삼대청(잠실·삼성·대치·청담)'을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했는데, 예상을 웃도는 수준으로 집값이 오르자 서울시는 지난 19일 강남 3구와 용산구에 있는 모든 아파트를 사고팔 때 지자체의 허가를 받도록 했다. 약 40만가구가 토지거래허가제도의 영향을 받게된 셈이다.

토지거래허가구역의 수혜를 가장 많이 본 송파구 집값은 이번 주 0.03% 하락했다. 전주 0.79% 급등하면서 주간 단위로 1% 가까이 올랐던 집값이 한 주 새 하락 전환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송파구 잠실동에 있는 '잠실엘스' 전용면적 84㎡는 지난달 30억5000만원까지 치솟으면서 30억원대를 넘어섰다. 이 단지 호가는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33억원까지 치솟았다. 

하지만 지난 19일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소식이 발표되고 실제 지난 24일에 시행되면서 5일간의 공백이 발생, 해당 기간 시세보다 2억~3억원을 낮춘 가격에 거래가 상당수 이뤄졌다는 게 현장 전언이다. 다만 이런 거래들은 아직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엔 신고되지 않았다.

강남구와 서초구 집값 상승 폭도 반토막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강남구는 이번주 0.36% 뛰었는데 전주(0.83%)보다 0.5%포인트가량, 서초구는 같은 기간 0.69%에서 0.28%로 0.4%포인트가량 감소했다. 마찬가지 규제 지역이 된 용산구도 0.18% 올라 전주(0.34%)보다 상승 폭이 줄어들었다. 

토허제 영향, 풍선효과 우려 지역 집값 상승[출처:이미지투데이]

반면 강남 3구와 용산구의 차급지로 꼽히는 지역들은 여전히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상급지가 규제 지역으로 지정되면서 수요가 옮겨붙을 수 있다는 기대감이 생겨서다. 성동구는 0.35% 뛰어 전주(0.37%)와 비슷한 수준의 상승 폭을 유지했다. 마포구도 0.21% 올라 전주(0.29%) 대비 유의미한 수준의 하락은 보이지 않았다.

서울 전셋값은 상승세를 유지 중이다. 송파구는 0.2% 올랐다. 신천동과 잠실동 재건축 단지에서 가격이 오르면서다. 강동구는 0.12% 올랐는데 둔촌동과 암사동 대단지 전셋값이 오른 영향이다. 동작구(0.11%), 영등포구(0.09%), 성동구(0.08%) 등도 전셋값 오름세가 이어졌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