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 사례

조동성 교수 “전략경영, 한 단어로 압축하면? ‘나만의 독점성’을 갖는 것!”

728x90
반응형
SMALL
조동성 교수, 서울대 경영학과 졸업→1977년 미국 하버드 경영학박사 학위 수료→인문사회계 최연소 서울대 경영 대학교수
모두가 다 경쟁자가 되면 피곤하지만 유일하면 싸울 필요가 없다!
혁신은 있는 것을 뒤집는 것이고, 창조는 있는 것을 재구성하는 것
“조직의 리더는 조직을 책임져야 하고 조직의 구성원을 책임져야 한다”
모든 것은 ‘사례’로부터!
 

12월 7일 산업정책 연구원 이사장이자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인 조동성 교수와 인터뷰를 진행했다. 조동성 교수는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67학번으로 1971년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1977년 미국 하버드에서 경영학박사 학위를 땄다.

이후 1978년 29살에 인문사회계 최연소 서울대 경영 대학교수로 임용돼 경영대학장으로 활동했고, 36년간 서울대 경영 대학 교수로 재직하며 15개 해외 대학 초빙·겸임교수, 중국 장강 경영 대학원(CKGSB) 교수로 활동했다.

또한 그는 한국경영학 회장·한국 학술단체 총 연합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이명박 정부 당시 대통령 직속 국가경쟁력 위원회 위원, 2014년에 국가 브랜드 진흥원 이사장을 역임했다. 2016년부터 2020년엔 국립대학 법인 인천대학교 총장으로 혁신을 이끌었다.

그리고 2020년 싱크탱크 산업정책 연구원(IPS) 제5대 이사장에 취임해 현재까지 수많은 사람들에게 인사이트를 주고 있다. 조동성 교수와의 인터뷰를 통해 그가 가진 철학, 경영, 리더십, 사례 등에 대한 이야기들을 나눌 수 있었다. 

나만의 독점성을 갖는 게 전략…이 세상에 유일한 사람이 되기!

조동성 교수는 하버드 경영학 박사, 최연소 서울대 교수, 서울대 명예교수, 대통령 직속 국가경쟁력 강화위원회 위원, 국가 브랜드 진흥원 이사장, 인천대 전 총장, 각종 학회장, 산업정책 연구원 이사장 등 수많은 직함이 따르고 있다. 여러 수많은 직함이 따르고 있지만 조동성 교수는 본인을 소개할 때 “조동성이다”라며 짧고 굵은 답변을 내놓았다.

그는 “저는 경영학 중에서도 경영전략을 전공했다. 전략이 뭔지 한 단어로 압축해 이야기하면 ‘나만의 독점성’을 갖는 게 전략이다. 경쟁에 빠지지 않고 나밖에 없는, 이 세상에 나 하나만 존재하는 그런 영역을 갖는 것이다. 이 세상을 전부 장악할 필요는 없지만 나만의 영역은 있어야 한다”

“독점은 시장에서 생산자와 소비자가 만날 때 생산자가 독점하면 소비자가 피곤하니까 경제학 하시는 분들은 독점이 나쁜 것이라고 생각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소비자가 독점하고 생산자가 경쟁할 수도 있다. 이건 소비자 시각에서 볼 때 좋은 것이다. 독점과 경쟁은 일률적으로 어느 것이 좋고 어느 것이 나쁘다고 얘기할 수 없다”라고 이야기했다.

조동성 교수는 국립대학 법인 인천대학교 총장 시절 학교 슬로건을 ‘우리는 1등 대학을 추구하지 않고 유일한 대학을 추구한다’로 명시할 만큼 유일함을 강조했다. 

모두가 다 경쟁자가 되면 피곤하지만 유일하면 싸울 필요가 없다. 이 분야에서만큼은 나를 찾아오게 하면 된다. 조동성 교수는 1등과 유일 중 유일함은 그 가치를 한 마디로 평가할 수 없다고 이야기하며 편의점에서 파는 생수를 예시로 들었다. 

“생수 한 병에 500원~1,000원 정도 한다. 특별히 디자인을 하거나 브랜드가 있기 전에 생수 한 병에 5천 원을 받는 것은 비싸다고 느껴진다. 하지만 이 생수가 사우디아라비아의 사막에 한 병 밖에 없고 부자들이 물이 없어 허덕이다가 이 생수 한 병을 봤다고 가정해 보자. 그들에게 경매를 붙이면 얼마까지 올라가겠나? 이 생수 한 병이 생명을 구한다면 값이 끝도 없이 올라간다. 그래서 유일한 존재가 되는 게 중요하다”라며 유일하게 되는 모든 게 전략이라고 이야기했다.

조동성 교수는 평생 학계에 있으면서 남들과는 다르게 가르치기 위해 늘 연구에 힘쓴다고 전했다. 그는 강의를 할 때도 모든 사람이 똑같이 쓰는 교과서를 놓고 똑같은 내용의 강의를 하지 않고 직접 연구해 만들어 낸 이론만을 강의한다. 

조동성 교수는 “이젠 교육이 없어지고 학습만이 존재한다. 교수가 주체가 돼서 가르치던 시절은 이미 지나갔고, 지금은 학생이 주체가 돼서 배우는 시절이다.

Teaching에서 Learning으로 바뀌었다. 교수가 학생과 마주 보는 게 아니라, 학생과 나란히 앉아 미래를 향해 함께 공부해야 하는 시절이 왔다. 교수는 학문에 대한 프레임웍크가 있는 사람이다.

즉, 우물에서 물을 뜰 수 있는 바가지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다. 바가지가 있으니까 물을 뜨기가 쉽다. 바가지가 없으면 손으로 물을 받아 마셔야 된다. 그러니까 교수와 학생이 같이 앉아 공부를 하더라도 바가지를 가지고 있는 교수가 학생보다 더 빨리 흡수하고 학생에게 도움을 줄 있는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이젠 혁신→창조로…이 세상 모든 창조는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몇 년 전까지만 해도 혁신이 화두였는데 이젠 창조가 화두가 됐다. 조동성 교수는 1997년부터 경영학이 이제는 전략, 혁신에서 창조로 넘어가야 한다고 발표도 하고 책도 썼다. 그에 의하면 혁신은 있는 것을 뒤집는 것이고, 창조는 있는 것을 재구성하는 것이다.

그가 쓴 책 중에 4FACT(패러다임을 바꾸는 네 가지 창조적 전략)이 있다. 조동성 교수는 “모든 창조는 하늘에서 뚝 떨어지는 게 아니라, 계단 올라가듯 과학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창조는 더 이상 신비스러운 존재가 아니다. 창조를 과학적으로 접근해서 예측이 가능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면서 “이 세상의 모든 창조 행위는 수학적 공식에 들어있는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로 구성된 사칙연산으로 이루어진다”라고 했다.

그는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을 보자. E=mc2, 즉 에너지(E)는 질량(m)을 속도(c)의 제곱으로 곱한 결과다. 이 세상의 모든 창조 행위는 수학적 공식이다. 창조는 현재 존재하는 걸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로 재구성하는 것이다. 재구성이 곧 창조다”라고 하면서 “혁신에 이어서 창조의 시대가 오고 있다. 창조 능력 없이 혁신에만 매달리면 결국 2등으로 남게 된다. 스티브 잡스는 혁신적 지도자가 아니라 창조적 지도자였다”라고 언급했다.

“조직의 리더는 조직을 책임져야 하고 조직의 구성원을 책임져야 한다”

조동성 교수는 지난 10월 31일 서울시 유망중소기업 협·단체인 사단법인 하이서울기업 협회(협회장 김진석) 주최 ‘2023 중소기업 ESG 혁신포럼’에서 글로벌선도기업 도약을 위한 중소기업의 ESG 경영이라는 주제로 ‘ESG의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한 기조연설 강연을 진행했다. 

그는 ESG 경영을 하는데 제일 중요하고 제일 먼저 해야 되는 일은 리더십의 헌신이라고 전했다. “새로운 일을 시작할 때는 조직이 아닌 개인에서부터 나오며 그 효과는 CEO가 먼저 할 때 파급 효과가 빠르다. ESG는 실무적으로 탄탄한 조건 위에서 이루어지지만, 그 모든 걸 변화시키는 힘과 책임은 CEO한테 있기 때문이다. 물론 CEO의 의지만으로 되는 건 아니고 실행 조직도 필요하고 조직 분위기도 필요하다. 그러나 조직과 분위기를 만드는 책임은 CEO에게 있다."

*인터뷰 전문은 사례뉴스 홈페이지에 기재되어 있습니다.

글/이예지 기자

#조동성교수#서울대경영대학교수#창업#aSSIST University#하버드대학교MBA과정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