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우산 8종 전량 안전기준 미달…우비·장화도 부적합 다수
프탈레이트·납 검출, 발암 가능성·생식 독성 우려
[사례뉴스=김주연 인턴기자] 서울시가 장마철을 맞아 해외 온라인 플랫폼에서 판매 중인 어린이용 우산, 우비, 장화 등 35개 제품을 검사한 결과, 11개 제품에서 유해 물질이 기준치를 초과하거나 물리적 안전 기준에 미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은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등에서 판매 중인 어린이 우산·우비·장화 23개, 그리고 초저가 생활용품 및 어린이제품 12개로 총 35개 품목이었다. 서울시는 이들 제품에 대해 유해 화학물질 검출 여부와 내구성 등 물리적·기계적 안전성을 중점적으로 검사했다.

특히 어린이용 우산 8종 전 제품이 물리적 안전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으며, 이 중 6개 제품에서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되었다. 일부 제품은 국내 기준치(총합 0.1% 이하)를 무려 443.5배 초과하기도 했다.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내분비계 교란, 정자 수 감소, 불임, 조산 등 생식 기능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유해 물질이다. 특히 이 중 DEHP(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는 국제암연구소(IARC)가 지정한 2B등급 인체 발암 가능 물질로 분류된다.
2개 제품에서는 납이 기준치 대비 최대 27.7배 초과 검출됐다. 우비 제품 3개도 안전 기준을 통과하지 못했다. 이들 제품에서는 후드 조임끈에 금지된 장식성 코드가 포함되어 있었고, 끈을 의복에 부착하도록 규정한 안전 기준을 지키지 않았다. 또한, 일부 우비는 조절 탭 길이가 기준치인 7.5㎝를 초과해 착용 시 걸림 및 끼임 사고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시는 이번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부적합 제품에 대해 각 온라인 플랫폼에 판매 중단을 요청했다. 이번 검사 결과는 서울시 누리집 또는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해외 온라인 플랫폼 관련 소비자 피해나 불만은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 핫라인, 120 다산콜센터, 또는 해당 누리집을 통해 접수할 수 있다.
'비즈니스 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KT, 소상공인 대상 생성형 AI 교육 지원 본격 시동 (2) | 2025.06.27 |
---|---|
“아이스크림 샀더니 가방이?”…롯데웰푸드, 이색 선물세트로 Z세대 공략 (3) | 2025.06.27 |
삼성전자, 인도서 비스포크 AI 가전 혁신 경험 선보여 (1) | 2025.06.27 |
“최저임금도 못 버는 자영업자 3명 중 1명”…경영상황 더 나빠졌다 (0) | 2025.06.26 |
7년 만에 플라스틱 빨대 재도입한 스타벅스, 이유는? (0) | 2025.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