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 사례

“최저임금도 못 버는 자영업자 3명 중 1명”…경영상황 더 나빠졌다

728x90
반응형
SMALL
자영업자 10명 중 6명 “고용 여력 없다"
63.4% “작년보다 상황 악화”…최저임금 부담 크다는 응답 절반 이상 차지

 

[사례뉴스=김주연 인턴기자] 자영업자 10명 중 6명 이상이 지난해보다 경영상황이 악화됐다고 느끼고 있으며, 3명 중 1명은 최저임금 수준에도 못 미치는 소득을 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영업자 3명 중 1명은 최저임금 수준도 못 번다[출처: 이미지투데이]

26일 한국경제인협회가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자영업자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영업자 경영환경 인식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3.4%가 올해 경영상황이 전년 대비 악화됐다고 답했다. ‘비슷하다’는 응답은 29.8%, ‘개선됐다’는 6.8%에 그쳤다.

현행 최저시급인 10,030원에 대해서는 절반(50%)이 “부담이 많다”고 응답했으며, ‘보통’은 30.6%, ‘부담 없다’는 19.4%로 조사됐다. 최저임금이 경영에 부담된다는 응답 비율은 업종별로 △숙박·음식점업 64.2% △도·소매업 51.9% △교육서비스업 50.0% △제조업 48.4%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내수 침체 장기화와 함께 최저임금 상승에 따른 인건비 부담, 원자재비 인상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결과로 해석된다.

또한 자영업자의 30.4%는 월평균 소득이 최저임금(월 209만6270원, 주 40시간 기준)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응답했다. 내년도 최저임금 적정 인상률에 대해선 ‘동결’을 선택한 비율이 가장 높아 44.2%에 달했으며, 이어 △1~3% 미만 21.2% △인하 15.0% △3~6% 미만 10.2% 순이었다. 

고용과 관련해서는 자영업자의 65%가 “현재도 여력이 없다”고 답했으며, 31%는 가격 인상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저임금 인상 시 폐업을 고려하는 기준을 묻는 질문에는 28.8%가 “이미 한계 상황”이라 답했으며, 최저임금을 '1~3% 미만' 인상할 경우 9.6%, '3~6% 미만' 인상할 경우 11.6%가 폐업을 고려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