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 경험자 46%, ‘한국 문화콘텐츠 관심 증가 中’
가장 많이 소비하는 한류 콘텐츠, K-Food
한류 경험자 3명 중 2명, ‘한국 콘텐츠 때문에 한국 더 좋아져’
해외 한류 경험자 10명 중 7명이 ‘한국 문화콘텐츠 마음에 들어’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4월 16일 목회데이터연구소 주간 리포트 ‘넘버즈’ 제 236호에서는 ‘해외 한류 실태와 인식’이라는 제목으로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아래는 조사 결과에 대한 내용이다.
해외 한류 실태와 인식

1. 해외 한류 경험자 10명 중 7명, ‘한국 문화콘텐츠 마음에 들어’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문화체육관광부는 해외 주요 국가의 한류 경험자를 대상으로 한류 콘텐츠 이용 현황과 인식을 2012년부터 조사하고 있는데, 2023년 조사보고서가 최근 발표되었다. 세계 속 K-문화콘텐츠의 위상을 확인할 수 있는 해당 결과를 살펴본다.
최근 경험한 한국 문화콘텐츠의 호감도를 묻는 질문에 ‘마음에 든다’고 응답한 비율은 26개국 평균 69%였고, 호감도 상위 1~3위 나라는 인도네시아(86%), 인도(85%), 태국(83%) 등의 순이었다.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한국 문화콘텐츠 호감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향이 뚜렷했다.
2. 한류 경험자 46%, ‘한국 문화콘텐츠 관심 증가 中’

해외 한류 경험자에게 소비하는 전체(모든 국가) 문화콘텐츠 중 한국 콘텐츠 소비 비중은 어느 정도인지 물었다. 그 결과, 26개국 평균 소비 비중은 26%로 전체 콘텐츠 4개 중 1개는 한국 문화콘텐츠를 소비하는 셈이다.
현재 한국 문화 콘텐츠에 대한 관심도가 1년 전과 비교했을 때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물은 결과, 절반 가까이인 46%가 ‘증가했다’고 응답해, 감소했다(11%)는 응답 대비 훨씬 높았다.
3. 가장 많이 소비하는 한류 콘텐츠, K-Food

최근 1년 기준으로 해외 한류 경험자가 가장 많이 경험한 한국 문화콘텐츠는 무엇일까? 1위는 ‘음식’으로 응답자의 63%가 한국 음식을 먹어본 것으로 나타났고, 2위는 ‘영화’ 59%, 3위는 ‘드라마’ 55%, 4위와 5위는 각각 ‘음악’ 54%, ‘뷰티’ 46% 등의 순이었다.
4. 한류 경험자 3명 중 2명, ‘한국 콘텐츠 때문에 한국 더 좋아져’

한국에 대해 전반적으로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물었더니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2019년 69%에서 2023년 73%로 지난 4년간 지속해서 높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또, 해외에서 한국 문화콘텐츠를 경험한 후 한국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했다는 비율은 66%로 해외 한류 경험자 3명 중 2명이 한국 문화콘텐츠가 한국을 긍정적으로 보게끔 영향을 주었다는 데 동의했다.
글/이예지 기자
'비즈니스 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존을 위한 관점의 전환…경영자가 보람을 느낄 때” 70회 가인지성장클럽, 18일에 열려 (0) | 2024.04.18 |
---|---|
”관점의 전환이 곧 기업 생존” 배민 전 총괄이사 박용후 대표가 제시한 경영자 관점 전환? (0) | 2024.04.18 |
청소년이 생각하는 행복의 조건 ‘건강과 화목한 가정’ (0) | 2024.04.17 |
IBK창공, 2024년 일본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실시 (0) | 2024.04.17 |
기업 60% “직원 채용 시 평판조회 한다” (0) | 2024.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