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 사례

AI 드론으로 산불·조류 충돌 위험 막는다

728x90
반응형
SMALL
국토부, 올해 100억 원 투입해 상용화 추진
드론 개발 사업자 5월 26일~7월 4일 공모

[사례뉴스=김주연 인턴기자] 정부가 대형 산불과 항공기 조류 충돌에 대비하기 위해 소방·조류 드론 개발에 100억원을 투입한다.

정부가 대형 산불과 항공기 조류 충돌에 대비하기 위해 소방·조류 드론 개발에 100억원을 투입한다.[출처:이미지투데이]

국토교통부는 산불 등 재난에 대응하고, 공항 조류로부터 항공기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첨단기술 기반 소방·조류 드론 개발에 본격 착수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항공안전기술원 주관으로 진행하는 '드론 상용화 지원사업' 공모를 통해 추진한다.

국토부는 이번 공모를 통해 최근 대형 산불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면서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지역 잔불 진화 등에 효과적으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고중량(100㎏ 이상) 탑재가 가능한 소방 특화 드론 개발을 추진한다.

정부는 소방 특화 고중량 드론 개발을 위해 2025~2027년까지 총 115억원을 투입할 예정으로, 이중 올해에만 70억 원을 집중 투입한다. 외국에서 상용화된 고중량 드론을 우선 도입하고, 이를 기반으로 국산화 기술개발도 병행할 계획이다.

또한 공항 주변 조류 충돌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AI(인공지능) 기반의 군집 드론 기술을 적용한 조류 대응 드론 시스템을 개발하고, 공항 안전 체계를 강화할 전망이다.

공항 조류 대응 AI 드론은 2025~2026년까지 총 50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출처:이미지투데이]

공항 조류 대응 AI 드론은 2025~2026년까지 총 50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며, 올해 공모를 통해 30억원 규모의 예산으로 개발을 시작한다. 

이번에 개발되는 드론은 공항 주변 4㎞ 이내의 조류를 탐지하고, 조류 활동 패턴을 분석해 감지·추적·퇴치가 가능한 다수의 군집 비행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예정이다. 

또한, 드론에는 다양한 임무 장비를 탑재할 수 있으며, 레이더 및 영상 인식 기술을 융합한 지능형 AI 알고리즘을 통해 조류 위험을 사전에 감지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개발할 계획이다.

공고는 5월 26일부터 7월 4일까지 40일간 진행되며, 이후 서류 및 발표 평가를 거쳐 7월 중 최종 사업자를 선정하고, 본격적으로 사업에 착수한다.

김기훈 국토부 첨단항공과장은 “최근 발생한 여러 재난 상황에서 활용될 드론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면서 “첨단 기술이 적용된 소방 드론과 공항 조류 대응 AI 드론 개발을 통해 국민 안전을 한층 강화하고, K-드론 국산화 기술개발을 통해 드론 산업 활성화도 도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