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직난 (3) 썸네일형 리스트형 ‘세대 갈등’ ‘경기 침체’...모두가 힘들다! 늘어나는 구직난, 해결 방법은? 글/김민영 기자신규 채용 줄고, 구직급여 늘었다소통 강화와 일 경험 제공이 해법2024년 하반기 채용 시장은 경기 침체와 기업의 보수적 경영 전략으로 크게 위축됐다. 대기업의 57.5%가 신규 채용을 하지 않거나 계획을 미정으로 두었으며, 이는 경력직 선호와 업황 부진이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다(한국경제인협회).주요 이유로는 △긴축경영(23.8%) △경기 부진(20.6%) △직무 능력 부족으로 인한 인재 확보 어려움(17.5%)이 꼽힌다.워크넷에 따르면, 2024년 9월 기준 신규 구인 인원은 17만 7천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24% 감소했다. 같은 시점 구직급여 지급액은 9,625억 원으로 전년보다 증가하며 취업난 장기화로 인한 구직자의 부담을 보여준다(고용노동부).세대 갈등: 공감과 대화가 답이다.. 청년층 신규 채용 일자리 감소 추이 역대 최고...해결할 방도는? 글/이성현 기자청년층에 대한 신규 채용 일자리 감소 추이 및 구직급여 평균 지급액 사상 최고치 기록단순한 고용 및 구직 문제에서 세대 간의 사회 갈등으로 확산될 수도갈등 해결을 위해서는 서로의 입장에서 이해하는 소통이 필요!청년층에 대한 임금 근로 신규 채용 일자리의 감소 수치는 7년 만에 역대 최고를 기록한 것과 반대로, 구직급여(실업급여)의 평균 지급액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한다.지난 24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임금 근로 일자리 중 1·20대의 신규 채용 일자리는 145만4천개인데, 지난해 같은 기간의 수치인 159만개보다 약 13만 6천개(-8.6%) 감소한 수치이다. 이는 관련 통계가 측정되기 시작한 2018년 이후 가장 적은 수치로, 지난.. 취준생 10명 중 9명이 상반기 구직난 체감… 하반기도 ‘구직난’ 계속! '사람인' 조사 결과, 취준생들 2,217명 중 97.1%가 상반기 구직난 심화 경험... "지원할 만한 공고가 적어서" 응답자 모두 하반기 구직난 예상... "수시채용 확대로 전체 채용 규모 줄어들 것 같아서(75.3%)" 구직자 10명 중 4명, "하반기 취업 자신없어"... 취업 시장 훈풍 위해 ‘경기 회복과 성장’ 필요 코로나19 안정화와 새로운 정부의 출범 등으로 올해 채용 시장에 훈풍이 불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다. 커리어테크 플랫폼 사람인이 구직자 2,217명을 대상으로 ‘2022 구직난’에 대해 조사한 결과, 실제 취업 시장에 뛰어든 취준생들이 느낀 상반기 구직난은 여전했다. 이들은 하반기 역시 구직난이 나아지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구직자의 대부분(97.1%)이 상반기에도 구직난이 여전하..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