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 (4) 썸네일형 리스트형 NPL 시장의 지각변동, 옥석 가리기가 시작되다 [심선보 칼럼] 다가오는 선택의 시간국내 경제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지만, NPL(Non Performing Loan, 부실채권) 시장은 꾸준히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1998년 IMF 외환위기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등 경제 불황기마다 대규모 NPL 시장이 형성됐다. 최근 경기 침체와 고금리 상황이 맞물리며 또다시 NPL 시장이 들썩이고 있다.연체율 급증으로 건전성 악화를 우려한 은행들이 부실채권을 적극 매각하고, NPL 회사는 풍부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비교적 회수율이 높은 기업 부실채권을 사들이고 있기 때문이다. NPL 시장은 2020년 코로나19 확산 후 정부의 금융지원 정책으로 지연된 NPL이 2023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쏟아지며 커지고 있다.NPL 시장은 불황일수록 더 성장한다.. 코스피 200 기업, 감사위원회의 자발적 설치 통해 견제와 균형 강화 한국 딜로이트 그룹, KOSPI 200 기업 중심 이사회·감사위원회 관련 현황 정보 분석 및 주요 규제 동향 담은 ‘기업지배기구 데이터 동향’ 제2호 보고서 발간 새해부터 새로운 내부회계관리제의 평가·보고 기준 마련으로 관련 공시활동 강화 예정… 감사위원회와 외부감사인, 경영진과 외부감사인 간 비적정 의견 불일치 간극 좁히는 노력 필요 KOSPI 200 기업이 감사위원회의 자발적 설치를 통해 견제와 균형 역할을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 딜로이트 그룹(총괄대표 홍종성)의 ‘기업지배기구 데이터 동향' 제2호에 따르면, FY2023 반기 기준 KOSPI 200 기업에서 감사위원회를 설치한 173사 중 자산 2조원 이상의 기업은 142사 (82.1%) 였다. 법적으로 의무 설치 요건에 해당되지 않는.. 가상자산 투자, 긍정 인식 비율은 10명 중 1명에 불과 현재 가상자산 투자자, 금융 거래 소비자의 10% 가상자산에 대한 정부기관 규제 필요하다 65% 가상자산 투자에 대해 긍정 인식 비율은 10명 중 1명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7월 13일 목회데이터연구소 주간 리포트 ‘넘버즈’ 제 199호에서는 ‘가상자산 투자 인식’이라는 제목으로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아래는 조사 결과에 대한 내용이다. 1. 가상자산 투자, 긍정 인식 비율은 10명 중 1명에 불과 최근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에 관한 여러 이슈가 뉴스에 오르내리고 있고, 가상자산 시장이 새로운 시장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시점에서 ‘가상자산에 대한 소비자 인식’ 리포트(NICE디앤알)가 발간돼 소개한다. 금융 거래 소비자**들 중 ‘가상자산 투자’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비율은 9%에 불과했고, ‘부정적.. 게임만 해도 돈을 벌 수 있다고? 세계는 현재 P2E에 주목 중! 게임 내 아이템/재화를 가상화폐로 바꿀 수 있는 P2E 게임 Play 2(to) Earn 의 약자, 말 그대로 게임만 해도 돈을 벌 수 있는 구조 해외에선 상용화되고 있지만 국내에선 사행성을 문제로 규제 중, 대책은 규제 샌드박스..? P2E 게임이란? P2E 게임은 'Play 2(to) Earn'의 약자로, 게임 내 아이템이나 재화를 가상화폐로 환전하여 실제 현물가치를 지니게 하는 게임을 의미한다. 기본적으로 가상화폐의 사용을 전제로 하고, NFT(대체 불가능한 토큰) 역시 사용되는 게임이기에 가상화폐와 NFT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급부상하게 된 게임이다. 그렇다면 NFT는 무엇일까? 'Non-Fungible Token'의 약자로, 이를 번역하면 '대체 불가능한 토큰'의 의미가 된다. 쉽게 생각..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