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선보 칼럼] 다가오는 선택의 시간
![](https://blog.kakaocdn.net/dn/EchiT/btsJXZB8KdU/C0LzCtoEDVoektTyRYVB90/img.jpg)
국내 경제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지만, NPL(Non Performing Loan, 부실채권) 시장은 꾸준히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1998년 IMF 외환위기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등 경제 불황기마다 대규모 NPL 시장이 형성됐다. 최근 경기 침체와 고금리 상황이 맞물리며 또다시 NPL 시장이 들썩이고 있다.
연체율 급증으로 건전성 악화를 우려한 은행들이 부실채권을 적극 매각하고, NPL 회사는 풍부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비교적 회수율이 높은 기업 부실채권을 사들이고 있기 때문이다. NPL 시장은 2020년 코로나19 확산 후 정부의 금융지원 정책으로 지연된 NPL이 2023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쏟아지며 커지고 있다.
NPL 시장은 불황일수록 더 성장한다. 빚을 연체하는 가계나 기업이 많으면 많을수록, 그를 처리하는 시장도 크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경기 둔화로 인해 3개월 이상 연체된 채권을 사고파는 NPL(부실채권) 투자사들의 수익성이 높아지고 있다. 올해 상반기 은행권에서 발생한 부실채권 규모가 27조 원을 넘어서면서, NPL 회사의 수익성 증가세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별 평가와 정리계획 취합이 마무리되고 구조조정이 이달부터 본격화될 예정인 가운데 금융당국도 부실 사업장에 대한 재구조화·정리에 속도를 내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실제 이복현 금감원장은 최근 임원회의에서 PF 부실채권 정리의 골든타임은 10~11월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이처럼 올해 하반기부터 PF발 부실 사업장이 경·공매와 NPL로 대거 나올 수 있을 것으로 보여 금융권과 건설업계에서 PF 사업장 인수전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자금 여력이 있는 일부 시공·시행사(개발회사)뿐 아니라 외국계 자금의 움직임도 본격화되고 있다. 시장에서는 불명확한 정리 기준 등으로 자칫 ‘외국계 배만 불리는 일’이 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내놓는다.
최근 들어 금감원에 NPL 회사를 등록하기 위해 많은 투자자가 줄을 서고 있다. 불과 2~3개월이던 등록 기간이 지금은 8~9개월까지 늘어난 걸 보면, NPL의 열기가 얼마나 대단한지 느낄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의문이 남는 건, “다들 왜 그렇게 NPL 시장에 진입을 하려고 하는 것인가?”이다. “알고는 있는지? 아니면 그저 돈이 된다는 막연한 생각으로 큰 그림만 보고 있는 건 아닌지?” 질문을 던져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https://blog.kakaocdn.net/dn/QTYV2/btsJXtDHhhW/4xqIkR0EWwgPdNBFOuiPlK/img.jpg)
오는 2024년 10월 17일부터 시행되는 ‘개인채무자보호법’으로 NPL 업계에 지각변동이 예상된다. NPL을 규제하는 것은 2016년 7월 25일 개정대부업법에 NPL을 포함한 이후로 8년 만이다. 이제는 NPL 회사들도 옥석 가리기가 시작될 것이다. ‘개인채무자보호법’과 NPL과 무슨 상관이냐고 하겠지만, 불행하게도 상관이 있다.
NPL이 돈이 된다고 하는 것은 높은 레버리지활용으로 에쿼티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앞으로는 이 레버리지활용에도 제동이 걸렸다. NPL 회사가 채권을 담보로 조달할 수 있는 비율을 최대 75%로 규제하기 때문이다. 자금차입을 규제한다는 것은 자연스럽게 업계의 진입장벽을 올린다는 뜻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자금차입이 줄어든다는 것은 수익률이 큰 폭으로 떨어진다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운영자금이 부족한 소규모의 NPL 회사들은 자동적으로 도태될 수밖에 없다. 이미 옥석 가리기가 시작된 것이다.
NPL 업계는 개정 대부업법 아래 벌써 8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또 한 번의 선택의 시간이 다가온다. 하지만 NPL 시장은 여전히 호황이라는 것과 자금차입 규제라는 양면성을 띠게 된 것이다. 게다가 여전히 금융기관들은 부실채권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는 것이다. 어쩌면 꽉 막힌 도로처럼 점차 과열되고 있는 NPL 시장에 교통 정리를 위해 교통순경이 나타났다는 것쯤으로도 생각할 수 있겠다.
위기가 곧 기회라는 NPL 시장에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다. 앞으로 NPL 시장의 동향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비즈니스 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펫태일과 치료멍멍, 국내최초 AI 기반 펫케어 서비스 협업으로 새롭게 도약 (9) | 2024.10.08 |
---|---|
성북구장애인단체연합회, 윤리경영실천 TF회의 진행 (1) | 2024.10.08 |
거인의 어깨 위에서 시작하라 (1) | 2024.10.07 |
OpenAI, 역대 최대 규모 66억 달러 투자 유치 (1) | 2024.10.07 |
인크루트 설문조사, 직장인 10명 중 7명 “지금은 운동 중” (7) | 2024.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