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워드 (2) 썸네일형 리스트형 새로운 생존 공식 '리워드'가 급부상하는 이유 글/박성준 기자코로나 팬데믹을 거쳐 많은 스타트업과 기업들이 사라지는 뼈아픈 경험들을 우리는 겪었다. 그 이후 많은 서비스들이 '리워드' 정책을 각 서비스의 형태에 맞게 도입하고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과연, 이런 현상에 숨은 '진짜' 의도는 무엇일까?프로덕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최종 궁극적 목적은 '수익 창출'일 것이다. 그래서 수많은 프로덕트들은 숨어 있는 고객들을 찾는데 최선을 다하고 있고 다양한 서비스적 구조를 통해서 잠재고객 유입과 기존 고객의 리텐션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고금리 고물가 그리고 저성장의 한가운데 놓인 대한민국 경제 상황에서 스타트업들은 '생존'을 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고객 감동을 넘어 '팬'으로 전환을 끊임없이 시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 상황 중에서 정말 재미있는 현상들.. '오은영 리포트'에 등장한 누워서 돈 버는 앱 앱으로 돈 벌기...리워드 앱 리워드 앱을 통한 앱테크 인기 증가 지난 7월 18일, 에서 개미와 베짱이 부부가 등장했다. 아내는 앱테크를 통해 모은 포인트로 치킨을 시켜먹는다고 밝혔다. 계속해서 쇼파에 누워 휴태폰으로 앱테크하는 모습이 방영되었는데, 앱테크를 통한 하루 총 수입은 천원으로 전해졌다. 리워드 앱을 통한 앱테크의 인기는 급증한 것으로 보인다. 빅데이터 전문 기업인 TDI가 리워드 앱을 분석한 결과, 6월 설치기기수 대비 월간 활성사용자 평균 수치는 64.1%로 조사되었다. 리워드 앱인 타임스프레드, 캐시워크, 튜브캐시, 워크온 중 타임스프레드가 설치기기수 대비 활성사용자 평균 수치 1위를 차지하였다. 설치기기수가 가장 많은 앱은 캐시워크였다. 6월 기준, 설치기기수는 총 436만 9,00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