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차 (5) 썸네일형 리스트형 자유로운 유연근무제 사용은 직장 만족도를 높여...하지만 그 실용성은? 글/이성현 기자엠브레인 설문 "직장 만족도가 높을수록 결혼과 출산에 긍정적"직장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가장 큰 요인은 연차와 유연근무제 등의 자유로운 사용하지만 유연근무제가 기업의 생산성을 높일 지는 미지수25일 국가인권위원회는 경기도 산하 한 재단의 대표에게 모든 직원이 ‘시차 출퇴근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라는 의견을 표명했다고 25일 밝혔는데, 최근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유연근무제를 시행하고 휴직과 휴가 사용이 자유로울수록 직장인들은 자신들의 직장에 만족하는 것으로 드러났다.시차 출퇴근제는 육아 또는 출퇴근 편의를 위해 다른 사람과 시차를 두고 출퇴근하는 제도다. 예를 들면 출근 시간을 9시로 고정하는 게 아닌 7시부터 10시까지 시차를 두고, 퇴근 시간은 그에 맞춰 바뀌는 것이다.재단.. 연차·휴가, 잘 관리하는 회사 비결? 간단하고도 쉬운 솔루션! 연차·휴가 사용에 눈치보는 직원들 많아평균적으로 17일 연차 중 12일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세 가지 연차·휴가 공유문화 세팅법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2년 전국 일-생활 균형 실태조사’ 보고서에 의하면 국내 기업이 평균적으로 제공하는 연차 기간은 17일인 데에 반해 실제 사용 연차의 평균이 11.6일로 12일을 밑도는 것으로 집계됐다. 평균적으로 직장인이 실제로 받는 연차 일수보다 약 5일 정도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이유로는 직장 내 프로젝트 등에 대한 책임, 업무 대체 인력 부족, 연차수당 수령 목적 등이 존재한다.'연차 휴가를 모두 사용하지 못한 주된 이유' [출처: 한국보건사회연구원]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보고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직장인이 연차를 사용하지 .. 직장인 설 상여금 평균은 '93만 원'? 설 상여금 또는 선물 받는 직장인 66.3%, 대기업 가장 많아 응답자 10명 중 7명 “업무가 많아 설 연휴에 연차 못 쓴다” 설 연휴 계획, ‘개인정비’ ‘고향방문’ ‘이직준비’ 순서 HR테크 기업 인크루트(대표 서미영)가 직장인 842명을 대상으로 ‘한국 직장인들의 2024 설 연휴’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먼저, 설 상여금 또는 선물을 받는지 물어봤다. 응답자의 66.3%가 받는다고 답했다. 응답자 10명 중 3명은 아무것도 받지 않는 것이다. 이를 기업 규모별로 교차 분석한 결과, 상여금 또는 선물을 받는 비율은 ▲대기업(78.2%)이 가장 많았다. 이어, ▲중견기업(70.5%) ▲중소기업(64.4%) ▲공공기관(58.7%) 순이었다. 더하여, 어떤 종류로 받는지 들어봤다. ▲현금.. 인사담당자의 83.9%, ‘직무 무관 경력이라도 중고신입 선호’ 직장인의 과반수 “중고신입으로 이직 시도한 적 있다” 중고신입으로 이직 시도한 연차, ‘1년 이상~2년 미만’ 가장 많아 중고신입으로 채용 가능한 마지노선 연차 ‘3.8년’ 최근 신입에게도 직무 경험을 요구하는 기업이 늘면서 사회 경험이 있는 ‘중고신입’ 선호현상이 갈수록 두드러지고 있다. 실제 인사담당자와 직장인들은 중고신입을 선호할까? HR테크 기업 인크루트(대표 서미영)가 인사담당자 포함 직장인 951명을 대상으로 ‘중고신입에 대한 생각‘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먼저, 중고신입으로 이직을 시도한 적이 있는지 물어봤다. 응답자의 과반인 55.4%가 시도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당시 연차는 무엇이었는지 들어본 결과, ▲1년 이상~2년 미만(23.5%)이 가장 많았다. 이어, ▲2년 이상~.. 휴가 사유...작성해야만 사용가능? 온라인 커뮤니티...연차사유글 화제 연차 휴가 시 사유작성...의무? 최소한의 예의vs법 규정 명시 연차사유에 생일파티?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MZ세대의 연차사유가 화제입니다. '솔직한 연차 사유'라는 제목으로 올라온 글로 A씨는 회사 연차사유란에 생일파티로 기재한 것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A씨는 연차사유란에 생일파티로 기재한 B씨에게 다른 사유로 작성할 것을 권했습니다. 이 일화를 A씨는 지인들에게 공유했고 몇몇 지인들은 '꼰대같다'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최소한의 예의 vs 사유를 쓰는 것이 문제 이와 관련하여 네티즌들의 반응은 다양했습니다. 솔직하다며 멋있다는 의견과 함께, 최소한의 예의는 지켜야 한다 혹은 애초에 연차 사유를 작성하는 것이 문제라는 반응이 있었습니다. 이렇듯 논란이 되고 있..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