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유투브

(2)
"잘하는 것"과 "좋아하는 것" 중에서 무엇을 해야 할까요? 창의적 인재의 시대가 온다, 전인(全人) 그 두 번째 이야기"잘하는 것"과 "좋아하는 것" 중에서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요? 최근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제프리 힌턴의 이야기가 살펴보겠습니다.그는 미국 카네기멜런대학교에서 첫 교수직을 얻었을 때 동료 교수들보다 30% 낮은 연봉을 받았지만, 자신이 하고 싶은 연구를 마음껏 할 수 있는 연구실을 가지게 되어 기쁘게 연구를 지속하였습니다. 즉, 좋아하는 것이 우선이 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좋아해야지 지속을 할 수 있으니까요. 어느 정도로 좋아해야 할까요?돈을 많이 못 벌어도 10년 이상 지속할 수 있을 정도로 좋아하는 일이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정말로 좋아하는 일을 10년 동안 몰입한다면, 당연히 그 일에서 최고가 되어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잘..
직장인 89.7% “현대인의 문해력 수준 낮아졌다” 인크루트, 한글날 맞이 직장인 문해력 설문조사 실시 문해력이 낮아진 이유? ‘유튜브, 숏폼 등 영상 시청 증가’ 때문 직장인 10명 중 6명, 원본보다 ‘요약형 정보’ 선호최근 문해력이 사회 이슈로 급부상하면서 직장에서도 보고서나 일의 맥락을 이해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직장인들이 늘어나고 있다.HR테크기업 인크루트(대표 서미영)가 10월 9일 한글날을 맞아 직장인들의 문해력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여러분의 문해력은 어느 수준입니까?’ 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조사는 직장인 909명을 대상으로 9월 30일부터 10월 3일까지 진행했으며 95% 신뢰 수준에 표본오차 ±2.66%P이다.먼저 직장인들에게 ‘현대인들의 문해력 수준이 낮아졌는지’ 물었다. 응답자의 89.7%가 ▲예를 답해 약 10명 중 9명이 현대..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