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전화

(3)
사장님은 멸종 위기종 포노사피엔스 직원을 뽑아야 하니[사례뉴스=신광훈 기자] 어느 중견 기업의 사내 변호사로 근무하는 예전 동료 변호사에게 대학생 면접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놀란 적이 있다.캐나다에서는 요즘 대학 졸업생들 면접을 볼 때 면접관 앞에서 전화를 시킨다고 한다. 피자 주문을 면접관 앞에서 직접 전화로 하게 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이해가 되지 않았다. 아니, 피자 주문하는 게 어떻게 면접이 될까?친구의 설명인즉, 친구 사이에도 전화보다는 문자를 더 많이 주고 받는 것이 요즘 대학생이고 음식 주문도 대부분 인터넷으로 하다보니, 생각보다 많은 대학 졸업자들이  사람에게 직접 말로 이야기 하는 것을 어려워 한다고 한다. 어떤 메뉴가 있는지 편안하게 화면으로 보고 고르다보니, 전화로 사람에게 메뉴를 물어보고, 가격을 물어보..
우리나라 20대, 5명 중 2명은 ‘평소 전화 통화 어려움 느껴’ 선호하는 소통 방식, 2030세대, ‘말’보다 ‘글’로 하는 소통 더 선호해 우리나라 20대, 5명 중 2명은 ‘평소 전화 통화 어려움을 느껴’ 우리나라 20대, 5명 중 2명은 평소 전화 통화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3월 15일 목회데이터연구소 주간 리포트 ‘넘버즈’ 제 183호에서는 ‘한국인의 소통 방식’이라는 제목으로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아래는 조사 결과에 대한 내용이다. 1. 선호하는 소통 방식, 2030세대, ‘말’보다 ‘글’로 하는 소통 더 선호해 만 19세 이상 우리 국민에게 문자, 대면, 전화 소통 중 평소 가장 선호하는 소통 방식에 대해 물었더니(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 절반 남짓(52%)이 ‘문자, 메신저, SNS 등 텍스트 위주의 소통’을 꼽았고, 다음으로 ‘직접 대면 ..
텍스트 소통에 익숙해진 세대, "전화는 부담스러워요" 2020년 대비 2021년 '직접 만남' 선호도↓, 모바일 메신저 선호도는↑ '영상통화=대면소통'이라고 생각하는 비율, 전세대에서 7.3%p 이상 증가 아래 그래프 분석은 대학내일20대연구소가 2021년 5월 25일부터 6월 2일, 8일간 전국 15세 이상 60세 이하 남녀 1,2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내용이다. 네 항목은 2020년 대비 2021년 비대면 소통에 대한 세대별 인식 변화를 조사한 것을 바탕으로 한다. 2020 vs 2021 선호하는 소통 방식 비교 코로나19로 우리 삶에 비대면 전환을 경험한 지 2년이 지난 지금, 조사 대상으로 하는 86세대부터 Z세대까지 모든 세대에서 직접 만남을 선호하는 비율이 낮아졌다. 2020년 조사 결과 가장 선호하는 소통 방법으로 '직접 만남'이 꼽힐 정도로..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