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취준

(3)
취업자 수 늘었지만...건설·제조업 한파 지속 3월 취업자 수 1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취업자 수, 전년 대비 19만 3천명 증가…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 고용률 높아[사례뉴스=김주연 인턴기자] 9일 통계청이 발표한 '3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는 2천858만9천명으로 나타났다. 작년 같은 달 대비 19만3천명 늘었다.취업자 수는 지난해 12월 일자리 사업 일시 종료 등에 5만2천명 감소했다가 올해 1월 13만5천명 늘어 3월까지 3개월째 10만명대 증가세를 지켰다.지난달 취업자 수가 석 달 연 속 10만명대 증가세를 이어갔지만, 제조업과 건설업에서의 일자리가 감소도 여전했다.건설업, 제조업 한파 여전[출처:이미지투데이]건설업 취업자는 작년 동월보다 18만5천명 급감했다. 11개월 연속 감소에 지난달 감소 폭은 2013년..
2024년 신입사원 적정 나이? 남성 30세·여성 27.9세 글/이성현 기자2024년 신입사원 마지노선 나이는 평균 남성 33세, 여성 30.6세MZ세대, ‘나이가 채용 합격에 미치는 영향 크다’ 느껴2024년 신입사원의 적정 나이는 남성 30세, 여성 27.9세로 조사됐다. 또 신입사원으로 입사할 수 있는 최대 나이인 마지노선 나이는 남성 33세, 여성 30.6세로 나타났다.HR테크기업 인크루트(대표 서미영)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HR 리포트 ‘THE HR - 2024 신입사원’을 공개했다. 이번 ‘THE HR’ 리포트는 △2024년 신입사원 적정 나이 조사와 함께 그간 △신입사원 적정 나이의 변천사 △신입사원이 갖춰야 할 스펙 등 HR 시장이 바라본 신입사원의 모든 것을 담았다.인크루트는 이번 리포트를 위해 인크루트 회원 1345명을 대상으로 9월 10일부터 ..
취준생 60% AI 면접보다 대면 면접 선호 AI는 감정 없이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면접관...그러나 믿을 만한가 10명 중 6명 대면 면접을 더 선호...회사 파악의 이유가 커 AI면접의 데이터 구축, 사회적 합의가 이루어져야 함 인공지능시대에 살아가는 '우리' 인공지능(AI), 로봇, 메타버스 등 새로운 용어들이 이제 낯설지 않다. 우리 생활 곳곳에서 관련된 서비스나 기기를 심심찮게 보기 때문이다. 우리는 인공지능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코로나 19로 인해 비대면 사회는 채용 시장까지 영향을 미쳐 지원자의 역량을 만나지 않고도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시도가 이뤄졌다. 그 중 대표 사례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면접이다. 현재 공기업과 관공서를 비롯한 많은 기업에서 도입되었다. 일각에서는 채용을 둘러싼 시비가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AI가..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