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s (3) 썸네일형 리스트형 인재를 재생산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을 알고 계십니까? 'KRS (Key Man Reproducing System)'? '핵심 인재 재생산 시스템' 역사적으로 사람을 키우는 대표적인 두 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소크라테스 아카데미'는 학자를 양성하고 지식을 전수하며 교실에서 교육하고 일종의 커리큘럼을 가지고 있다.반면 '예수님의 광야학교'는 제자를 양육하고 능력을 배양하며 현장에서 교육하고 개인화하는 것으로 커리큘럼이 따로 없다.예수님과 소크라테스의 가장 큰 차이점은 '개인화'에서 찾을 수 있다. 예수님이 그 제자들을 성장시켰듯이, 인재를 핵심인재로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개인적 그리고 인격적인 관계가 형성되어야 한다. 가인지캠퍼스에서는 이를 'KRS (Key Man Reproducing System)', 즉 '핵심 인재 재생산 시스템'이라고 말한다... 기업들이 지적자산을 쌓는 방법? KMS·KRS·지식토크! KMS, KRS, 지식토크…지식자산으로 지식경영을 이루다! 기업은 경쟁사와 경쟁을 하되, 단순히 경쟁자를 이기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 고객사를 위해서, 고객사의 고객들을 위해 필요한 부분들이 무엇인지 생각하고 지식을 쌓아야 한다. 한 마디로, 모두에게 유익이 되는 지식을 기업의 최대 지향점으로 삼아야 한다. 그 지향점에 도달하기 위해 기업 내에서 모두가 함께 토크하는 것이 중요하다. 직원들이 스스로의 힘으로 현장의 지식을 발굴하고 확산하는 것이 조직 성장의 필수적 항목이며, 조직의 노하우들은 직원 경험에서 쌓이는 실천 지식이다. 그것이 바로 지식토크이다. 지식토크란 20명 이하의 작은 조직이라면 모두가 둘러앉아, 자신이 겪은 지식사례를 하나씩 발표하는 간단한 행위이다. 5분 내외의 발표가 끝나면, 서로에게.. 지식자산을 쌓기 위한 지식 공유 노하우 3가지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해 적용지식을 확인 및 시행하는 KMS(지식뱅크), 업무지식리스트로 활성화 선택/동역/전수의 원리를 바탕으로 경영자 양성에 필수적인 KRS 지식을 공유, 나누는 지식토크, 조직문화 혁신에 효과적…지식자산은 지식경영의 기반이다 기업이 공통적으로 삼고 있는 최대가치는 산업에서 대체불가한 조직으로 인정받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두 가지는 '우리 기업만의 고유한 콘텐츠'와 '목표행동을 학습하게 해주는 모델링'이다. 모든 산업의 상위 포식자인 콘텐츠와 모델링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식자산’이 필요하다. 구성원들이 지식자산에 대해 서로 토론하며 구체화하고 발전시킨다면 기업의 자산은 단순한 노동값이 쌓여가는 것이 아니라 지식값이 쌓여가는 것이다. 여기서 지식자산은 기업의 핵심..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