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이성현 기자
10명 중 7명 “구내식당, 필수 복지 중 하나”
단 “구내식당 품질 떨어진다면 이용할 필요 없어”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trendmonitor.co.kr)가 전국 만 19~59세 직장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2024 직장인 점심식사 및 구내식당 관련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물가 상승으로 인해 식비에 대한 부담감이 커지면서 ‘구내식당’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울러 식비 관련 복지 혜택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모습도 확인할 수 있었다.

우선, 전체 응답자의 상당수가 구내식당은 직원 복지를 위해 중요한 제도(76.7%, 동의율)이자 필수 복지 중 하나(65.5%)라고 평가할 정도로, 구내식당이 근로 환경의 핵심 요소로 여겨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내식당의 품질이 직원의 행복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76.4%, 동의율)는 인식도 높은 수준으로, 직장 생활의 만족감을 높이는 역할까지 하고 있음을 엿볼 수 있었다.

다만, 구내식당도 어느 정도 회사 규모가 되어야 만들 수 있고(73.1%, 동의율),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에서는 구내식당 복지를 제공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72.5%)는 응답이 높게 나타나는 등, 직장 규모에 따라 직장인들이 체감하는 복지 수준에 다소 격차가 있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었다.
실제로 규모가 큰 회사를 중심으로 자체적으로 구내식당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 특징을 보여, 비교적 작은 규모의 중소기업에서는 제공하기 어려운 복지 혜택임을 짐작해 볼 수 있었다.
다만, 회사 내에 구내식당이 있더라도, 품질에 대한 기대를 충족하지 못한다면 그 효과는 크게 제한될 가능성이 높아 보였다. 구내식당의 퀄리티가 보장되지 않는다면 없는 것보다 못하다(65.3%, 동의율)는 인식이 높고, 음식의 맛, 품질 등이 떨어진다면 굳이 구내식당을 이용할 필요가 없다는 응답이 62.4%에 달한 결과를 보였기 때문이다.

즉, 구내식당의 존재 여부보다 제공되는 식사의 퀄리티가 직장인들의 만족도와 복지 효과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직장 내 구내식당이 있는 응답자의 경우 음식의 양(61.6%) 대비 ‘맛(49.5%)’, ‘메뉴 다양성(49.0%)’, ‘품질(45.5%)’에 대한 만족도가 비교적 낮게 평가되고 있어, 복지 혜택으로서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식사 전반의 퀄리티를 개선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관건이 될 수 있음을 예상해 볼 수 있었다.
*기사의 전체 내용이 궁금하다면?
'비즈니스 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S 기조연설 젠슨황 “삼성전자 HBM, 성능 반드시 통과…SK 최태원 만날 것” (0) | 2025.01.09 |
---|---|
사랑받는 리더십의 비결은? (0) | 2025.01.09 |
금융시장 불안해도...믿을 건 ‘미국 주식·ETF’ (0) | 2025.01.08 |
올해 HR 시장 ‘컬처핏’ 대세 여전...중장년 채용 성장할 것 (1) | 2025.01.07 |
“다양한 현장경험과 기업 대표 인터뷰까지!” 사례뉴스 학생기자 11기 발대식 (0) | 2025.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