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 사례

“탄핵 OR 퇴진?” 임기 전 지지율 하락…윤석열 비상계엄령 후폭풍

728x90
반응형
SMALL

글/이예지 기자


“탄핵 안 당하면 놀라울 것” 백악관은 한국에 경고

윤석열 대통령 비상계엄령 후폭풍이 계속되고 있다.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싱크탱크 대담에서 한국 계엄 사태와 관련해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를 미국 워싱턴을 포함한 모든 곳에 경고음을 울린 일로 평가했다. 계엄 사태 이후 한국에서 민주적 시스템이 작동하는 걸 봤고 앞으로도 그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공개적인 목소리를 낼 것이다”

“우리가 보고 싶은 것은 한국의 민주 제도가 적절히 작동하는 것이며, 미국을 포함한 모든 곳에 경종을 울린 다소 극적인 계엄령 선포 이후에도 이러한 절차가 작동하는 걸 봤다”

“한국의 민주주의는 견고하고 회복력이 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공개적으로 목소리를 내고 한국의 대화 상대방과 사적으로 소통하며 그 중요성을 강화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사진출처: YTN 뉴스 화면 캡처)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은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민주적 회복력을 갖고 있고 이번에도 그러한 예시를 세울지 지켜보겠다”라고 이야기했다.

미국 방송 및 언론에서도 다양한 보도를 전했다. 뉴욕타임스는 “야당 의원들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안을 제출하고 시위대가 사임을 요구하면서 윤석열 대통령의 정치적 운명은 불확실해졌다. 다만, 야소야대인 한국 국회 의석 분포를 소개하면서 국민의 힘이 전원 반대 표를 던질 경우 탄핵안이 가결될 수 없다”라고 전했다.

워싱턴포스트는 “탄핵에 이르기까지 상당히 많은 장애물이 있지만 윤석열 대통령의 정치적 미래가 불확실한 것은 분명하다. 자진 사임 또는 탄핵에 의한 충돌 등이 향후 전재될 수 있는 상황”이라고 보도했다.

윌스트리트저널은 탄핵안 발의로 미국의 가까운 동맹국에 더 큰 정치적 불안정을 이야기했으며 윤석열 대통령의 운명은 계엄령 선포가 정당화될 수 있느냐는 법적인 질문에 달려 있다고 평가했다.

 

*기사의 전체 내용이 궁금하다면?

https://cas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838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