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 사례

디지털 기술에 관한 OECD 10개국 시민들의 인식

728x90
반응형
SMALL
AI 때문에 내 업무 위협받을 가능성’, OECD 10개국 중 한국 2위!
그러나 AI 규제에 대해서 한국의 부정적 인식 가장 높아!

‘AI 때문에 내 업무 위협받을 가능성’, OECD 10개국 중 한국 2위!

디지털 전환과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이 전 세계적 차원에서 가속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한국을 포함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0개국 시민들의 디지털 전환과 인공지능 기술(AI)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조사한 자료가 발표돼 이를 살펴본다.

먼저 본인의 업무 수행에서의 디지털 기술 숙련에 대해 충분하다고 생각하는지를 물은 결과, ‘영국’이 72%로 가장 높은 동의율을 보였고, 한국은 57%로 폴란드(56%)에 이어 10개국 중 가장 낮은 동의율을 보였다.

반면 ‘AI 등 신기술 때문에 자신의 업무가 위협받을 가능성’에 대해서는 한국(35%)이 이탈리아(1위, 39%)에 이어 2위였다. 한국인의 경우 자신의 AI 기술 숙련도는 불충분하다고 느끼는 한편 AI 기술이 자신의 업무를 위협할 수 있다는 불안감도 크게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AI 규제에 대해서 한국의 부정적 인식 가장 높아!

이번에는 AI 등 노동자를 대체하는 신기술이 기업의 수익을 높일 때 규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물었다. 그 결과, ‘무규제나 최소한의 규제’에 대한 동의율, 즉 규제에 부정적인 입장은 한국이 10개국 중 1위(33%)였고, 이어 독일(23%), 덴마크(21%) 등의 순이었다.

 

글/ 박양준 기자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