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10일 인천 영종도 인스파이어 엔터테인먼트 리조트에서 ‘세계지식포럼 2024’가 진행됐다. ‘세계지식포럼 2024’은 매경미디어그룹이 주최하는 세계지식포럼은 지식 공유를 바탕으로 세계의 균형잡힌 성장과 번영을 추구하고자 2000년부터 시작한 글로벌 포럼으로 9월 9일(월)부터 9월 11일(수)까지 3일간 개최된다.
올해 25회를 맞는 세계지식포럼에서는 ‘공존을 향한 여정(Journey Towards Coexistence)’를 주제로 다양한 논의를 진행한다.
올해 세계지식포럼에는 훈 센 전 캄보디아 총리, 마우리치오 마크리 전 아르헨티나 대통령, 나프탈리 베넷 전 이스라엘 총리, 존 켈리 제28대 백악관 비서실장, 로버트 오브라이언 제27대 미 국가안보보좌관, 린다 밀스 뉴욕대 총장, 이토 코헤이 게이오대 총장, 조나단 그레이 블랙스톤 사장, 캄 가파리안 엑스에너지 공동창업자, 이언 골딘 옥스포드대 교수, 크리스 밀러 터프츠대 교수, 도미니크 페로 건축가 등 각 분야 최고 전문가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딥엘 야렉 쿠틸로브스키 창업자 겸 CEO는 ‘AI번역혁명: 바벨탑의 붕괴’라는 주제로 패널 토크를 진행했다.
AI는 전례 없는 속도와 규모로 언어 장벽을 허물고 있다. AI 번역 혁명이 우리의 업무와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가져올 변화는 어떤 모습일까? 예컨대 AI 번역기가 인간 통번역사를 대체하게 될까?
본 세션에서는 AI 번역 혁명의 최전선에 있는 기업 DeepL 의 창립자이자 CEO인 야렉 쿠틸로프스키로부터 AI가 어떻게 언어 번역을 혁신하고 있는지 들어본다. 정확도 향상부터 언어 범위 확장에 이르기까지 최신 개발 동향과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물론 데이터 프라이버시, 비용 효율성, 로컬라이제이션, 윤리적 고려 사항 등 테크업계 전반의 주요 관심사를 다루며 AI 기반 번역 및 작문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청사진을 그려본다.
야렉 쿠틸로브스키 대표는 딥엘을 창업한 이유에 대해 “현재 한국 시장은 매우 중요하고 한국에서 제품에 대한 관심이 많아서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 기술을 이용한다면 세상을 바꿀 수 있는 걸 만들 수 있다고 생각했다.”
“소통을 하는 방식을 바꿀 수 있다 생각했다. 어렸을 때도 세상을 바꿀 수 있는 무언가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했다. 조직을 만들고 창업을 하고자 하는 생각을 갖게 됐다. 회사를 창업함으로써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무언가를 만드는 경험은 결국 창업가들의 창업으로 이어졌다”라고 전했다.
왜 언어와 관련된 창업을 했는지 묻자 그는 “과거 2016년 시기엔 아직까지 전 세계 사람들이 AI가 얼마큼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한 확신이 없었다. AI가 서서히 발전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유럽에서 창업을 하면서 폴란드, 독일, 미국에서 시간을 보내면서 어떠한 언어 관련된 문제가 있는지 보게 됐다. 많은 국가, 언어가 존재한다. 기술 솔루션이 발전하고 있는 시기였기에 2017년 창업을 하면서 번역과 관련된 기업을 만들게 됐다.”
“많은 사람들이 번역 기술을 받아들이게 됐다는 것이다. 소통이 실제로 언어 장벽으로 인해 문제가 있었고 기여를 했다고 생각한다. 이런 과정이 뿌듯했고 사업도 키울 수 있었다”라고 덧붙였다.
전 세계적으로 AI 회사가 많은데 AI 발전을 위해 문제 해결을 위해 존재하는 기업들이 많다. 이에 야렉 쿠틸로브스키 대표는 “딥엘도 연구를 많이 하는 기업이다. 큰 규모의 연구팀이 있고 데이터 센터가 있다. 이런 기술들을 실제 삶에 어떻게 기술하는지도 중요하다”
“딥엘이 언어 문제를 해결하는 기업인데 추가적으로 기업적인 측면? 기업의 세계에서 영어가 공통언어로 오랫동안 존재했다. 언어 장벽을 극복할 필요가 있어서 공통적으로 영어를 사용해 왔다”라고 이야기했다.
딥엘이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무엇이 있는지 묻자 그는 언어 장벽을 꼽았다.
야렉 쿠틸로브스키 대표는 “기업들이 여전히 겪고 있는 언어 문제는 여전하다고 생각한다. 딥엘은 기술로 해결하고자 한다. 언어장벽을 무너트리고자 한다. 언어와 소통은 기업에서 사용되고 있고 사용층은 기업이다”
“각각 사무소에서 서로 소통을 해야 한다. 세일즈 부서가 미국에 있고 연구와 개발은 한국에서 이뤄지고 있다면 서로 소통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 소통을 하지 않는다면 고객들이 원치 않는 제품이 만들어진다. 영어가 과연 공통 언어인가? 잘 모르겠다. 우리 모두는 언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결국은 맥락을 잘 이해하고 세부 내용을 이해하는 것을 기술이 도울 수 있다”
“어떤 기업에서 새로운 사업에 진입하고자 할 때 현지 시장 밖으로 확장해서 다른 곳에서 새로운 고객을 찾고자 한다면 현지 언어를 배우던지 등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데 기술이 들어가면 절약을 할 수 있다”
“전체 프로세스를 쉽게 만들 수 있고 AI 기술을 이용해서 소통하고 통역을 하게 되면 훨씬 더 효율적으로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다. AI가 개개인에게 많은 능력을 더해주고 자신감 있는 세계 시민이 되어 확산할 수 있다”라고 전했다.
한편, 세계지식포럼은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를 겪은 뒤 창조적 지식국가 대전환을 목표로 2년여 간의 준비를 거쳐 2000년 10월 출범했다. 그동안 세계지식포럼은 지식 공유를 통한 지식 격차 해소, 균형잡힌 글로벌 경제 성장과 번영을 논의하는 자리를 제공해왔다.
‘지식으로 새 천년 새 틀을 짜다’는 주제로 첫 포럼이 열린 후 지금까지 5,518명의 글로벌 연사와 5만9218명의 청중이 참여해 세계지식포럼을 명실상부한 지구촌 최대 지식축제로 만들었다.
조지 W 부시 제43대 미국 대통령, 테리사 메이 제76대 영국 총리, 니콜라 사르코지 제23대 프랑스 대통령, 게르하르트 슈뢰더 제7대 독일 총리 등 국가 정상들, 김용 세계은행 총재 등 국제기구 대표,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 래리 엘리슨 오라클 회장, 존 헤네시 알파벳 회장, 조지 소로스 소로스펀드 회장 등 기업인, 래리 서머스, 폴 크루그먼, 마이클 포터, 그레고리 맨큐 등 석학들이 함께 머리를 맞대고 세계의 미래를 고민했다.
글/이예지 기자
'비즈니스 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3대 나프탈리 베네트 이스라엘 총리, 이스라엘 미래? “멋진 미래를 꿈꾸고 있다” (0) | 2024.09.11 |
---|---|
[김호이의 시선] 헝가리 전 대통령이 말하는 헝가리 인구대역전 비결 (2) | 2024.09.11 |
‘한국 최초 메이저리거 124승’ 박찬호, 지금의 나를 있게 한 건? ‘사람들 덕분’ (1) | 2024.09.11 |
‘스펙’에 가려진 자존감 이제는 내 ‘진짜 내면’을 들여다봐야 할 때 (1) | 2024.09.11 |
하반기 공기업·공공기관 채용 문 ‘활짝’…규모는 축소 조짐 보여 (0) | 2024.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