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이성현 기자
랩퍼블릭(RAP:PUBLIC)으로 알아보는 리더의 유형!
랩퍼블릭은 래퍼들이 스스로 공동체를 만들어가는 특이한 포맷
프로그램을 통해 여러 조직 문화의 양상 살펴볼 수 있어
지난 11일 티빙에서 방송한 ‘RAP:PUBLIC(이하 ‘랩퍼블릭’)’이 성황리에 종영했다. 힙합이라는 마이너한 장르음악을 대중화한 일등공신이었던 ‘쇼미더머니’ 시리즈가 해를 거듭할수록 부정적인 평가의 비중이 높아짐과 함께 성적도 하향 곡선을 그리며 2022년 11번째 시즌을 마지막으로 막을 내렸고, 이후 동일한 모기업에서 새로이 공개한 프로그램이 바로 랩퍼블릭이다.
랩퍼블릭은 동시기 방영한 ‘흑백요리사: 요리 계급 전쟁’에 의해 그 화제성은 기대만큼 크지 않았다. 더불어 ‘쇼미더머니’ 시리즈에서 들어왔던 ‘악마의 편집’과 같은 비판점은 이번에도 피할 수 없었다. 하지만 방송의 전개와 당락이 더 공정했고, 힙합 음악 본연에 집중하고 그 매력을 살려 장르 팬의 이목을 끌었다는 점은 큰 호평을 받았다. 또 랩퍼블릭이 방영 시작한 10월 1~2주차 수요일에는 유료가입기여자수가 전월 동기 대비 30% 증가했다고 한다. 성과도 분명히 존재했다.

프로그램의 가장 큰 특이점은 참가자들이 프로그램 내에서 팀을 구성하고, 결과의 당락도 팀 단위로 결정된다. 팀은 프로그램 초반 미션에서 강한 인상을 남겼다고 평가된 래퍼 8명이 각각 그들 자신과 팀을 이루길 원하는 타 참가자를 선출한다. 그렇게 6~8명의 팀원으로 구성되어 총 8개의 팀을 이룬다. 그 안에서 리더를 선출하고 팀 단위로 미션을 진행하며, 각 미션 중간에는 팀원이 이동할 수도 있다. 리더는 서로간 동의 하에 교체될 수도 있다.
제목처럼 프로그램 내 세계관이 하나의 ‘사회’를 구성하는데, 각 팀이 그 사회의 일부인 ‘공동체’이고, 그 팀의 리더는 말 그대로 팀을 대표하는 사람이다. 특히 리더는 일정 미션 이전까지 ‘탈락이 면제된다’는 특급 혜택이 있어 그 중요성이 프로그램 내내 강조되어 왔다. 실제로도 리더로 선출된 래퍼 대부분은 처음부터 우승 후보로 여겨지던 이들이고, 실력은 물론 미션 바깥에서 타 팀과 소통하고 인재를 영입하는데 가장 먼저 발 벗고 나선다.
그래서 랩퍼블릭 내에서 가장 두각을 보였던 ‘리더’ 세 명을 분석하고, 그들은 어떻게 팀을 높은 곳까지 올리게 되었는지 알아보려 한다.
2 Block-루피: 팀을 생각하려면 나를 믿어야 한다
루피는 처음 팀원을 선정할 당시 Khan(칸), Shyboiitobii(샤이보이토비)를 제외하고는 이름값 있는 래퍼를 영입하지 않았다. 팀 전체가 강력해야 살아남는 특성 상 의외의 선택이었는데, 그는 대신 뒤에서 어린 래퍼들이 프로그램 기간동안 성장하도록 늦은 시간까지 도움을 아끼지 않았으며, 그들이 루피 자신의 후광을 받고 자신감 있게 미션에 임하도록 동기를 부여했다.
그렇다고 본인이 미션에 소극적으로 임한 것은 아니다. ‘무한사이퍼’ 미션에서 보여준 그의 모습은 프로그램을 통틀어 가장 명장면으로 손꼽히고, 본선 무대에서 그가 참여한 ‘OTL(Off The Leash)’는 랩퍼블릭의 이름을 걸고 발매한 모든 음원 중 가장 좋은 평을 받는다.
결과적으로 노선(Nosun)과 라프산두(Raf Sandou)와 같이 대중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던 래퍼가 호평을 받으며 인지도를 대폭 쌓았고, 대부분의 무대 또한 8팀 중 가장 좋은 평을 받았다. 이러한 성과들이 모여 2 Block은 최종 우승을 차지한다.

중요한 건 루피는 팀을 먼저 생각하기에 앞서 실력이 뒷받침된 그 자신을 확실히 믿었다. 내 실력에 확신을 갖고 ‘내가 팀에 있으면 팀원은 절대 떨어지지 않을 것이다’는 믿음이 전제되니 어떤 구성원이라도 자신감을 고취하면서 그렇지 않더라도 루피라는 리더에게 의지할 수 있었던 것이다.
3 Block-김하온: 무엇이든 적극적으로!
랩퍼블릭에서 김하온의 모습은 ‘적극적’이라는 한 마디로 설명할 수 있다. 그는 첫 팀 구성 당시부터 실력자로 손꼽혔던 노윤하, 레디, 양카일 등을 영입해 균형이 제일 좋은 팀을 완성했고, 이후에도 적극적인 행보로 차붐, 신스 등 우승 후보들을 연거푸 영입하였다.
그리고는 ‘원 팀(One Team)’을 강조하며 팀을 하나로 모으는 일환으로 중, 후반부에 스스로를 3 Block이 아닌 ‘Team Trinity’라고 명칭했고, 팀원은 리더의 통솔 능력에 마음이 움직여 3 Block은 어느 팀보다도 자신이 아닌 팀원의 성과와 당락에 울고 웃는 모습을 많이 보여줬다.
*기사의 전체 내용이 궁금하다면?
'비즈니스 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인의 에너지 연봉 협상 잘하는방법" 일잘러의길 Part4 (0) | 2024.12.31 |
---|---|
광화문 뒤덮은 탄핵 반대 열기, 국제사회 "한국 정국 불안" 주목 (1) | 2024.12.31 |
2025년 부동산 투자, 기회와 도전 (1) | 2024.12.30 |
MZ 알바생 새해 소망, ‘연애·결혼’ 보다 ‘경제적 자유’ 원해! (1) | 2024.12.30 |
코로나 이후 해외여행? 회복 못하고 정체 내지 후퇴로 (3) | 2024.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