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최한길 기자
활주로 끝 로컬라이저 구조물, 국제 기준 위배 논란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의 피해를 키운 주요 원인으로 활주로 끝에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이 지목되고 있다. 179명의 목숨을 앗아간 이번 사고는 1997년 대한항공 괌 추락 사고 이후 27년 만의 대형 항공 참사로 기록됐다. 사고 당시 여객기는 활주로를 벗어나 로컬라이저(착륙 유도 안전시설)와 충돌했는데, 이 시설이 단단한 콘크리트 구조로 되어 있어 피해를 키웠다는 분석이다.
국제 기준 위배 논란
영국의 항공 안전 전문가 데이비드 리어마운트는 "활주로에서 200m 떨어진 곳에 단단한 물체가 있다는 건 지금까지 어디에서도 본 적이 없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미국연방항공청(FAA) 기준에 따르면 항행안전구역에 부러지지 않는 탑을 쌓아선 안 되며, 로컬라이저 안테나를 위한 시설은 부러지거나 저항이 작은 구조물로 설치해야 한다.
국토교통부는 여수공항 등을 예로 들며 구조물처럼 둔덕에 설치된 형태도 있다고 해명했지만, 전문가들은 이를 비판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출신 파일럿 데니스 다비도프는 "일반적으로 로컬라이저 안테나는 지상에 설치되며, 높이를 올리고 싶어도 콘크리트 벽이 아닌 금속 타워를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항공 전문기자 제프리 토마스도 "활주로 근처 어디에도 벽이 있어서는 안 되며, 이는 국제 기준에 위배된다"고 지적했다.
로컬라이저 위치 문제
로컬라이저의 위치 또한 문제로 지적됐다.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와 FAA는 로컬라이저를 활주로 시단으로부터 약 300m 지점에 설치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무안국제공항의 로컬라이저는 활주로 끝에서 약 251m에 불과했으며, 이는 다른 국내 주요 공항들과 비교해도 짧은 거리였다. 전문가들은 활주로가 더 길었다면 사고 피해를 줄일 수 있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무안공항의 근본적 문제점
한편, 일각에서는 무안공항 자체의 문제점도 지적하고 있다. 무안공항은 김대중 전 대통령의 정치적 목적으로 건설되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조류 집중 서식지에 위치해 있고 활주로도 비정상적으로 짧아 이용률이 매우 낮다는 지적도 있다.
*기사의 전체 내용이 궁금하다면?
'비즈니스 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올해의 소통 키워드는 인공지능(AI), 의료대란, 뉴진스 순’ (4) | 2024.12.31 |
---|---|
쿠팡 자동화 매출의 비밀! 성공하는 셀러들의 필승 전략 (2) | 2024.12.31 |
"직장인의 에너지 연봉 협상 잘하는방법" 일잘러의길 Part4 (0) | 2024.12.31 |
광화문 뒤덮은 탄핵 반대 열기, 국제사회 "한국 정국 불안" 주목 (1) | 2024.12.31 |
랩:퍼블릭, 루피 팀 VS 김하온 팀…2블록 우승으로 알아보는 리더의 유형! (1) | 2024.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