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브리풍' 사진 열풍에 일일 사용자 120만명 넘어...챗GPT 일간 이용자 수 역대 최고
올트먼 "GPU 녹아내린다" 기능 제한 조치…유료 결제 유도?
저작권 침해 논란도…지브리 측 아직 공식 입장 없어
[사례뉴스=김주연 인턴기자]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챗GPT의 일간 이용자 수가 처음으로 120만명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기준 챗GPT 국내 일간 활성 이용자 수(DAU)는 역대 최다인 125만2925명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10일 챗GPT DAU는 103만3733명으로 첫 100만명대를 기록했는데 약 2주 만에 최다 기록을 다시 경신한 셈이다. 지난달 1일까지만 해도 챗GPT DAU는 79만9571명에 불과했다.
이같은 이용자 급증은 오픈AI가 지난달 25일 출시한 신규 이미지 생성 AI 모델 '챗GPT-4o 이미지 생성'이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해당 모델이 공개된 이후 최근 SNS(사회관계망서비스)에는 유명 에니메이션 제작사의 화풍으로 변환한 이미지가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특히 일본의 유명 애니메이션 제작사 스튜디오 '지브리'의 그림체를 모방한 이미지 제작이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다.
챗GPT 개발사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도 자신의 X(엑스·옛 트위터) 프로필 사진을 지브리 화풍으로 올려 이목을 끌었다. 해당 모델은 오픈AI의 멀티모달 AI 모델 '챗GPT-4o'와 결합한 이미지 생성 모델로 명령어를 하나하나 입력할 필요 없이 이용자의 의도를 파악해 이미지를 생성한다.

각종 부작용과 우려도 발생하고 있다. 챗GPT를 활용한 이미지 생성 수요가 급증하자 올트먼 CEO는 "그래픽처리장치(GPU)가 녹아내리고 있다"며 기술적 부작용을 우려한 바 있다.
폭발적인 인기와 함께 저작권 침해 문제도 도마 위에 올랐다. AI가 특정 화풍을 모방하는 것이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지 법적 논쟁이 가열될 조짐이다.
현재 미국에서는 작가 협회가 주도해 오픈AI를 상대로 무단 저작물 사용 혐의에 대한 집단소송을 진행 중이다.
AP통신에 따르면 로펌 프라이어 캐시먼의 조시 와이겐스버그 파트너 변호사는 "AI 모델이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작품을 훈련 데이터로 활용했는지 여부가 법적 쟁점으로 부각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창작자의 동의 절차나 적절한 보상 체계 없이 저작물을 AI 학습에 활용하는 행위는 명백한 저작권 침해 요소를 내포한다"고 지적했다.
오픈AI 측은 이러한 비판에 "개별 예술가의 고유한 표현 양식 복제는 지양하나, 보다 광범위한 스튜디오 스타일의 활용은 허용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다만 자사의 이미지 생성 AI가 어떤 데이터를 학습했는지에 대해선 밝히지 않고 있다.
당사자인 스튜디오 지브리 측에서도 오픈AI의 이미지 생성 기능에 대한 공식적인 입장이 없는 상태다. 다만 스튜디오 지브리의 창업자인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은 지난 2016년 AI가 만든 결과물을 보고 "역겹다"며 강한 거부감을 표현한 바 있다.
'비즈니스 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즈니스는 사랑입니다" 가인지컨설팅그룹 김경민 대표 신간 출간 (0) | 2025.04.03 |
---|---|
“이런 직원 절대 자르면 안된다”…불경기에도 회사 살리는 인재 특징? (1) | 2025.04.02 |
“아빠는 강했다”...지진에도 52층 다리 건너 아이 구한 '슈퍼맨' (0) | 2025.04.02 |
트럼프 위력 이 정도일 줄이야...본격 관세는 '오늘'부터 (0) | 2025.04.02 |
(주)빅파이씨앤티, '2025 코스모프로프 볼로냐' 참가... 글로벌 주목 이끌어 (0)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