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새해 우리 국민 개인의 삶 전망? ‘좋아질 것’(12%), 작년 대비 절반 수준으로 떨어져
한국인의 새해 경기 전망, 나빠질 것 44%, 좋아질 것 9%
한국인의 새해 전망 긍정인식, 세계 최하위권

2023년 새해 우리 국민 개인의 삶 전망이 작년 대비 절반 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조사됐다.
1월 10일 목회데이터연구소 주간 리포트 ‘넘버즈’ 제 175호에서는 ‘2023년 새해 전망’이라는 제목으로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아래는 조사 결과에 대한 내용이다.

1. 2023년 새해 우리 국민 개인의 삶 전망? ‘좋아질 것’(12%), 작년 대비 절반 수준으로 떨어져
우리 국민은 2023년 개인의 삶을 어떻게 전망할까? 한국갤럽이 새해 개인의 전반적인 삶을 어떻게 전망하는지에 대해 물은 결과, ‘좋아질 것’이라는 응답은 12%로 전년 조사 결과(25%) 대비 절반 수준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나빠질 것’이라는 부정적 전망은 20%로 긍정 전망보다 두 배가까이 높았다.

2. 한국인의 새해 경기 전망, 나빠질 것 44%, 좋아질 것 9%!
한국갤럽이 1979년부터 조사 발표한 한국인의 새해 경기전망 추이를 살펴본다. 새해 우리나라 경제가 어떠할 것이라고 보는지 물었더니 한국인의 9%만이 ‘좋아질 것’이라고 응답했고, ‘나빠질 것’ 49%, ‘비슷할 것’ 41%로 비관적이거나 유보적인 인식을 보인 경우가 낙관론 대비 4배 이상 높았다.
한국인의 경기 전망 과거 44년간의 추이를 보면, 새해 경기에 대한 전망은 대략 2000년을 기점으로 비관적 전망이 더 높은 경향을 보이고 있다.

3. 한국인 새해 살림살이 전망, 성인 3명 중 2명(66%)은 올해와 비슷할 것이라고 응답해
2023년 살림살이 전망에 대해 우리 국민의 13%가 ‘좋아질 것’, 20%가 ‘나빠질 것’, 66%가 ‘비슷할 것’이라고 응답해 긍정인식보다 부정인식이 더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44년 간의 새해 전망 추이를 보면 1995년까지는 ‘살림살이가 좋아질 것’이라는 인식이 우세한 편이었다가 1997년 IMF 외환 위기를 기점으로 낙관론과 비관론의 우세가 교차/등락을 거듭하며 낙관론이 크게 앞선 해가 없었다. 2010년도부터는 낙관론보다는 비관론이 더 높은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4. 한국인의 새해 전망 긍정인식, 세계 최하위권
한편 갤럽 인터내셔널이 세계 35개국 성인을 대상으로 2023년 새해 전망을 물은 결과를 보면 (2023년 새해는 2022년보다) ‘좋아질 것’ 31%, ‘나빠질 것’ 34%, ‘비슷할 것’ 27%로 긍정적 전망과 부정적 전망이 비슷한 수준으로 응답됐다.
국가별 새해 전망을 살펴보면 ‘나아지리아’가 77%로 새해를 낙관적으로 전망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고, 인도(54%), 멕시코(51%) 등의 국가에서 ‘올해가 작년보다 좋아질 것’이라는 응답률이 50% 이상으로 비교적 높았다.
우리나라의 경우 새해 낙관 비율은 12%였는데 이는 35개국 중 34위로 세계 평균(31%)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글/ 이예지 기자
'비즈니스 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소오류로 배달 지연 중입니다" 설 명절 사칭 문자 사기 주의! (0) | 2023.01.16 |
---|---|
13세 이상 우리 국민, 10명 중 7명은 OTT 플랫폼 이용 (0) | 2023.01.16 |
OKR 핵심은? 제목 잡기!…2회차 OKR 코치 Meet up 오프라인 모임 진행 (0) | 2023.01.13 |
신년·설날맞이, 색다른 선물로 마음 표현하는 방법 (0) | 2023.01.12 |
가인지캠퍼스, 인천광역시 교육청과 바우처 사업 MOU 체결 (0) | 2023.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