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경 4km 내 고객, 1시간 내 빠른 배달 가능
간편식 중심 퀵커머스 수요에 전략적 대응
[사례뉴스=김주연 인턴기자] 홈플러스가 배달의민족을 통해 주문 가능한 대형마트 퀵커머스 매장을 11개로 확대한다고 24일 밝혔다.

홈플러스는 지난 4월부터 강동점, 신도림점, 상봉점, 동래점 등 6개 점포를 배달의민족 장보기∙쇼핑에 입점시켜 배달 형태로 판매하고 있다. 오늘(24일)부터 금천점, 영등포점, 남대구점, 청주점, 전주효자점까지 5개 점포를 추가 운영한다. 나아가 배달의민족 대형마트 퀵커머스 가능 매장을 순차 오픈해 다음달 34개까지, 오는 8월까지 총 40개 이상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대형마트 퀵커머스’는 기존 홈플러스 대형마트의 당일∙예약 배송 서비스 ‘매직배송’,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슈퍼마켓 퀵커머스 ‘매직나우’에 이은 새로운 배송 형태다. 점포 반경 4km 이내에 거주하는 고객이 배달의민족에서 주문하면 대형마트의 신선식품, 델리, 베이커리 등 다양한 상품을 1시간 내외로 받아볼 수 있는 서비스다.
홈플러스가 대형마트 퀵커머스를 확대하는 것은 빠른 배송에 대한 고객 수요 증가에 따라 온라인 쇼핑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실제 홈플러스 대형마트 ‘매직배송’ 고객과 배달의민족 퀵커머스 고객은 쇼핑 목적에서 차이를 보였다. 지난 4월 28일부터 6월 8일까지 ‘매직배송’과 배달의민족 대형마트 퀵커머스의 카테고리별 매출 비중을 비교 분석한 결과, 배달의민족을 통해 주문한 고객의 매출 비중이 신선식품에서 7%p, 냉장∙냉동식품에서 4%p, 델리가 3%p 높았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이러한 경향이 더 두드러진다. ‘매직배송’의 경우 애호박이 채소 매출 1위인데 반해, 배달의민족 대형마트 퀵커머스에서는 깐마늘, 고추, 오이 등 식사 시 바로 곁들여 먹을 수 있는 채소가 주를 이뤘다.
과일은 딸기, 대추방울토마토, 블루베리 매출이 높았고, 튀김보다 초밥 매출이 높아 빠르고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상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냉동 카테고리에서는 아이스크림이 매출의 절반을 차지한 것으로 조사됐다.
조혜영 홈플러스 온라인마케팅본부장은 “상품과 배송 선택지 다각화를 통해 고객들이 언제 어디서든 편리하게 홈플러스 매장의 신선한 상품을 받아볼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비즈니스 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년 전 가격 그대로" 롯데마트, 통큰치킨 5천원에 판매 (0) | 2025.06.24 |
---|---|
"복잡한 대출 계산도 대화로 해결!" 카카오뱅크, AI 금융 계산기 출시 (0) | 2025.06.24 |
직접 만들던 ‘얼박사’, 이젠 편의점에서 한 캔에! (1) | 2025.06.24 |
한국국방조직학회 창립기념 학술세미나 개최 (1) | 2025.06.24 |
리더와 팔로워를 위한 질문 101 (0) | 2025.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