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이예지 기자
본 인터뷰는 김희봉 작가가 진행한 인터뷰입니다. 향후 ‘김희봉이 만난 사람’ 인터뷰 시리즈를 사례뉴스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김희봉 작가는 교육공학박사로 공주대학교 사범대학에서 윤리 교육과 영어교육을 전공하고 국방대학원 및 한양대학교에서 리더십(M.A)과 교육공학(Ph. D)을 전공했습니다.
그는 20년이 넘는 시간 동안 HRD 컨설팅, 교육과정 개발, 강의 및 코칭 등을 수행하면서 군(軍), 대학교, 컨설팅사, 대기업 등에 속한 다양한 구성원들의 성장을 직간접적으로 지원하고 있다는 것에 감사하고 있으며 HRD(Human Resources Development,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매력과 가치를 알고 의미와 재미 그리고 흥미를 느끼고 있습니다.
이울러 HRD는 이론과 실제가 접목되어야 한다는 측면에서 대한리더십학회 상임이사와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편집위원장으로도 활동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학술연구와 발표를 하고 있습니다. 저서로는 ‘휴먼웨어101’ ‘다시 강단에서’ ‘리더스타그램’ ‘HRD연구방법가이드’가 있으며 뉴스레터인 HRD Curator의 발행인이기도 합니다.
이봉원 원장은 보건복지부 산하 공공기관인 한국자활복지개발원에서 운영하는 한국자활연수원에서 원장으로 일했고 현재는 공로연수 중이다. 그는 사회복지를 전공하고 91년부터 2004년까지는 사회복지 현장에서 일다.
2005년부터 한국보건복지인재원에서 전국의 보건복지분야 공무원과 민간 종사자를 위한 다양한 교육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실무와 지원업무를 했으며 2015년 충주에 한국자활연수원을 오픈하면서 자활분야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인력과 경제적으로 어려운 주민들을 위한 교육기관의 책임자로 일했으며 사회복지와 HRD를 접목하는 융복합 업무를 20년 동안 한 전문가다.
아래는 김희봉 작가가 이봉원 원장을 인터뷰한 내용입니다.
Q1. 현금 100만원이 생겼고 3일 내에 사용하지 않으면 사라집니다. 이 돈을 어떻게 사용하시겠습니까? 이유와 함께 알려주세요.
후배 교수가 일하는 인근 대학교 학생 2명에게 50만 원씩 보내주고 싶습니다. 부모들이 어느 정도 지원해 주는 학생들도 있지만, 학비와 생활비 버느라 고생하는 학생들이 많다는 이야기를 가끔씩 들었습니다.
학생들에게 50만원은 큰돈입니다. 이 돈으로 잠깐이라도 여유를 가질 수 있고, 격려와 힘이 됐으면 좋겠네요. 퇴직 후에도 계속 열심히 일해서 꼭 실천하고 싶은 일입니다. 제가 대학교 3학년 때 갑자기 아버지께서 돌아가셔서 여러 면에서 답답하고 막막했습니다. 이때 부탁하지도 않았는데 등록금과 생활비를 먼저 챙겨주신 고마운 선배들, 어르신들께, 그 빚을 조금씩 갚고 싶은 마음을 늘 갖고 있었습니다.
Q2. 지금까지의 삶을 돌이켜봤을 때 바꾸고 싶은 것과 바꾸고 싶지 않은 것은 무엇입니까? 이유와 함께 알려주세요.
어려운 질문이네요. 부모님이나 태어난 나라처럼 바꿀 수 없는 것은 빼고 그래도 ‘내가 조금 더 노력했다면’ 하는 일이라면...젊었을 때 조금 더 집중해서 공부했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공부하는 ‘척’하지 않고 몰입해서 제대로 공부해서 원래 계획했던 대학원, 가능하다면 유학까지 다녀왔으면 하는 것이지요.
학위 자체도 중요하지만 나름 진심이었던 정신건강과 재활 분야의 전문가로서 전문성을 더 키우고 싶었는데...10여 년 다니던 직장 그만두고 미국에서 일하거나 공부해 보려고 준비하다가 포기해버렸던 것이 아쉬움으로 남아있습니다.
살면서 만난 좋은 선배, 동료, 후배들은 바꾸고 싶지 않은 소중한 사람들입니다. 다시 보고 싶지 않고, 지금 생각해도 마음이 아픈 사람들도 있었지만 일하면서 만난 사람들 중에서 아직까지 인연이 이어지고 있는 귀한 분들과는 오래도록 더 좋은 관계를 만들어가고 싶습니다.
서울로 유학 와서 공부하고, 정신없이 일하느라 어린 시절 친구들을 챙기지 못한 것은 안타깝지만 이후에 직장 생활하면서 좋은 분들을 만날 수 있었던 것은 큰 행운이었습니다.
*기사의 전체 내용이 궁금하다면?
'인터뷰 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 세계 최초로 오프라인 데이터를 수집하는 AI 솔루션! 메이즈(주) (4) | 2024.12.17 |
---|---|
매너리즘에 빠지지 않는 방법 3가지 방법? ‘쉼·생각·여행’ (0) | 2024.12.05 |
경기 불황 속 바다와 고등어 횟집이 살아남을 수 있었던 3가지 비결? (1) | 2024.11.26 |
슬링스톤(주)이 1,011% 성장할 수 있었던 비결? 00을 통해 사용자 전환율 높여 (39) | 2024.11.19 |
[김희봉이 만난 사람] 교육 및 HRD 분야 전문가 이재경 교수가 스스로 동기부여하는 방법? (39) | 2024.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