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5) 썸네일형 리스트형 결혼∙출산∙양육에 관한 인식 미혼 국민의 결혼 의향, 반년 전보다 증가!우리 국민 10명 중 7명은 자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미혼자, 결혼 시 자녀 낳을 의향 35%로 매우 낮아!일·가정생활 균형을 위해선 ‘육아를 위한 시간 확보’ 가장 필요해!미혼 국민의 결혼 의향, 반년 전보다 증가!대통령 직속 기구인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가 최근 ‘결혼·출산·양육 및 정부 저출생 대책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는데, 이는 지난 3월 실시한 조사와 동일한 문항으로 구성하여 국민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추적한 결과이다.만 25~49세 미혼 국민에게 결혼 의향을 물어본 결과 3명 중 2명(65%) 정도가 ‘있다’고 응답했는데, 이는 6개월 전 조사보다 4%p 증가했다. 전반적으로 남성의 결혼 의향률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30대 여성의.. 2023 혼인 건수, 19만 4천 건으로 전년 대비 1.0% 증가 결혼한 부부 전체 5쌍 중 1쌍은 재혼 외국인과의 혼인, 전체 결혼 건수의 10% 차지 30년 이상 부부의 ‘황혼이혼’, 10년 전 대비 크게 증가 지난 4월 2일 목회데이터연구소 주간 리포트 ‘넘버즈’ 제 234호에서는 ‘2023 혼인∙이혼 통계’이라는 제목으로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아래는 조사 결과에 대한 내용이다. 2023 혼인·이혼 통계 2023 혼인 건수, 19만 4천 건으로 전년 대비 1.0% 증가 지난 3월 19일 통계청에서 발표한 ‘2023년 혼인∙이혼 통계’를 바탕으로 최근 10년간 한국인의 혼인∙이혼 건수 추이를 살펴본다. 우리나라 2023년 혼인 건수는 19만 4천 건으로 전년 대비 1.0%(2천 건) 증가했으며, 2023년 이혼 건수는 9만 2천 건으로 전년 대비 0.9%(-8백.. 한국에서 결혼에 드는 비용, 3억 474만 원 결혼 비용 중 집값 비중 79% 한국에서 결혼에 드는 비용이 3억 474만 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2월 20일 목회데이터연구소 주간 리포트 ‘넘버즈’ 제 228호에서는 ‘한국인의 결혼 비용’이라는 제목으로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아래는 조사 결과에 대한 내용이다. 한국인의 결혼 비용 1. 한국에서 결혼에 드는 비용, 3억 474만 원 최근 한 결혼 정보 업체에서 결혼 5년 차 이내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실시한 ‘결혼 비용’ 관련 조사 결과가 발표되어 이를 살펴본다. 결혼을 앞둔 청년들은 결혼을 위해 어느 정도를 모아야 할까? 결혼 준비의 시작인 상견례, 신혼집, 혼수, 예단, 예물, 예식장, 신혼여행 등 10가지를 위해 소요된 총결혼 비용은 평균 3억 474만 원(부부 기준)으로 조사됐다. 2. 결혼 비.. 설 명절 스트레스 1위 '취업, 직업 관련' 성인남녀 35.6% ‘설 명절 스트레스 받는다’…남성보다 여성↑, 30대 가장 높은 응답률 스트레스 1위 ‘취업, 직업 관련 과도한 질문과 잔소리’, 설 세뱃돈·용돈 등 비용 부담 이어져 20대 5명 중 4명, 설 세뱃돈 받는다…30대 이상은 ‘용돈 주는 편’, 적정 세뱃돈은 ‘10만원 내외’ 설 연휴를 앞두고 명절 스트레스를 호소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취업 잔소리부터 선물, 용돈 등 비용 부담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는데 특히 설 세뱃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이목을 끈다. 구인구직 아르바이트 전문 포털 ‘알바천국’이 성인 3,44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설 명절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답한 비율이 35.6%로 집계됐다. 남성(29.2%)보다 여성에게서 40.1%로 높은 응답률이 나타났으며, 연령별로는 3.. 결혼 준비 과정에서 가장 필요 없는 것 1,2위는 ‘예단’과 ‘예물’ 가장 적절한 결혼 비용 수준으로 ‘3,000만 원 미만(44.6%)’ 꼽은 이들이 가장 많아 결혼을 위해 반드시 돈을 들여야 하는 것 1순위 ‘주택’, 2순위 ‘신혼여행’, 3순위 ‘예식장’ 결혼 준비에서 가장 비용 부담이 되는 것 1위 ‘주택’, 2위 ‘혼수’, 3위 ‘예물’ 코로나 이후 결혼 수요가 늘고 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인구동향에 따르면 2023년 2월 혼인 건수는 1만 7,846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약 3,000건 이상 증가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 완화와 일상이 회복된 영향으로 분석했다. 결혼 수요 증가는 반가운 일이지만 온라인 커뮤니티에 보면 스드메(스튜디오·드레스·메이크업)를 포함해 결혼 비용 문제로 고민하는 예비신랑, 신부의 글이 적지 않다. 예상보다 실제 지출되는 비용이 더 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