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당근마켓

(7)
"아 유 캐롯? 해외에서도 통했다!"...캐나다서 누적 가입자 수 200만 명 돌파 당근 글로벌 서비스 캐롯, 캐나다서 200만 가입자 돌파… 24년 5월 100만 가입자 달성 이후 약 8개월 만GPS 기반 동네 이웃간의 연결 및 신뢰 형성, 유저 친화적인 정책과 기술적 혁신에 대한 현지 호평 이어져당근, 캐나다에서의 경험과 성과를 바탕으로 더욱 적극적인 투자 통해 향후 5년 내 북미 50개 도시 진출할 것당근의 글로벌 서비스 ‘캐롯’(Karrot)이 캐나다에서 인기몰이를 하며 북미 시장 공략에 청신호를 켰다.국내 대표 지역생활 커뮤니티 당근은 자사의 글로벌 서비스 ‘캐롯’이 캐나다에서 누적 가입자 수 200만 명을 돌파했다고 14일 밝혔다. 국내 사업 초기부터 해외 시장 공략을 목표로 했던 당근의 글로벌 사업이, 북미 거점지인 캐나다를 중심으로 유의미한 성과를 내며 성장세에 가속도가 ..
"당근에서 알바 구한다"...매칭률 85% 돌파 당근알바 일자리 공고 게시글의 89%는 24시간내에 구직 지원'24시간 지원 보장' 이벤트 진행 당근알바에 구인 공고를 올린 동네 사장님 10명 중 8명 이상이 1주일 안에 채용을 확정한 것으로 나타났다.국내 대표 지역 생활 커뮤니티 당근이 당근알바 채용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1주일 이내 일자리 매칭률 85%를 돌파했다고 22일 밝혔다.출처: 당근‘일자리 매칭률’이란 채용을 확정한 사장님이 공고 게시부터 채용 확정까지 걸린 기간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로, 2024년 4월 기준, 1주일 이내 매칭률은 85%, 3일 이내 74%를 기록했다. 하루(24시간)만에 채용을 확정한 경우도 63%에 달해, 당근알바가 거주지 인근 생활권 내에 알바 자리를 찾는 구직자와 새로운 알바생이 필요한 동네 자영업자들을 빠르고..
고물가 시대 새로운 트렌드? 리퍼비시! 10명 중 8명 "리퍼비시 제품 구매해본 적 있어" 리퍼비시 제품 "합리적인 소비 가능해" "당근이세요?" 중고거래 플랫폼 '당근마켓'을 통해 더이상 사용하지 않는 물건을 팔고 필요한 물건을 동네 근처에서 거래하는 것은 이제 흔한 일이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소비자의 단순 변심으로 반품된 상품이나 제조 또는 유통 과정에서 미세한 흠집이 발생한 제품 등 사용에는 문제가 없으나 새 상품으로 판매할 수 없는 상품을 저렴하게 판매하는 것을 뜻하는 '리퍼비시 제품'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진 것을 볼 수 있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2022년 리퍼폰 시장이 전년대비 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스마트폰 시장이 전년대비 12% 감소한 것과는 상반된다. 글로벌 경기침체로 소비가 둔화되면서 새로운 스마트폰에 대한 수요..
1위 앱은 Z세대의 앱이 아니다! Z세대가 '당근'보다 '번개'를 먼저 누르는 이유 업계 1위는 '당근마켓', Z세대 1위는 '번개장터'... Z세대는 취향 표현과 비대면 소통에 최적화된 앱 원해 Z세대는 직거래보다 비대면 선호... '번개톡', '번개페이', '포장택배' 서비스로 비대면 거래 안전성 강화한 번개장터 번개장터는 '다양성'을 사고파는 곳... 예능 '신박한 정리'와 협업해 '취향소비 놀이'로서의 중고거래 고객경험 지원 백화점에 번개장터 오프라인샵 '브그즈트 랩', '브그즈트 컬렉션' 오픈... 중고거래의 명품화 성공 Z세대는 앱 시장 주도한다... Z세대 위한 별도 플랫폼 만든 신한은행・우리은행 Z세대는 이용자가 많은 1위 앱 대신 Z세대의 성향을 적극 반영한 특정 앱으로 몰려든다.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앱에 속하는 것에 만족하지 않고, 자신을 표현할 수 있고 비대면 소통..
디지털화 시대에 등장한 커뮤니티 마케팅 성공 사례 소비자들이 기업을 향한 신뢰는 어디에서 오는가 커뮤니티 마케팅이란 무엇인가...무신사, 당근마켓 커뮤니티 마케팅 성공 사례 요즘 소비자들은 같은 정보라도 기업의 일방적인 정보 제공에 대한 신뢰보다는 자신이 좋아하는 인플루언서나 같이 활동하는 커뮤니티 회원들이 제공하는 정보데 더 높은 신뢰를 갖는 경향이 있다. 모든 것이 상호 연결되는 인간 삶에서의 기본이 사람과 사람 사이에 커뮤니티이다.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개인의 생각이나 의견, 경험, 정보 등을 서로 공유하고 타인과의 관계를 생성하는 또는 확장시킬 수 있는 개방화된 온라인 플랫폼이 '소셜미디어'이다. 커뮤니티 마케팅은 이런 기업이나 브랜드에 호감을 이미 갖고 있는 타깃이 중심이 되어서 기업과 사용자간 상호작용 할수 있는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마케팅이다...
"나도 카테고리 킹이 될 수 있다!" 새로운 시도, 차별화된 전략을 통한 챔피언 기업들 '패션 커머스'로 자리매김한 카테고리 킹! '지그재그' 운동복을 공략한 카테고리 킹! '젝시믹스'의 D2C 전략 쉽고 간결한 시스템과 동네 이웃 간 '직거래'라는 차별화를 둔 카테고리 킹! '당근마켓'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무언가를 이용할 때, 검증되지 않은 기업들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찾기보단 1등 기업을 찾는다. 기업이 모든 면에서 최고가 될 순 없어도 특정 카테고리의 1등은 될 수 있다. 즉, 카테고리 킹과 카테고리 챔피언 같은 말이 그런 기업을 가리킨다. ‘카테고리 킹’이란 현존하는 기업들의 제품보다 뛰어난 무언가를 만들기보다는,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고 카테고리를 창조하는 것을 말한다. 어떤 제품에서 1등이 될 수 있고, 또 어떤 지역에서 1등일 수도 있는 것이다. 많은 서점들이 대형 서점과의 경..
ESG 경영, 중소기업이 수행했을 때 좋은 점 3 가지는? ESG,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 환경(Environment)·사회(Social)·지배구조(Governance)의 줄임말 ESG 경영 강화를 핵심 모멘텀으로 활용한 GS리테일과 당근마켓의 콜라보 행사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이 ESG 경영을 수행했을 때 이점 3가지 지난 8월 30일 가인지TV에서는 ‘언더백 기업의 ESG 경영 이점 3가지’라는 제목으로 영상을 게재했다. 공개된 영상에서는 가인지북클럽 경영 추천도서로 ‘ESG 혁명이 온다’를 소개했다. ESG는 최근 비즈니스 흐름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대기업은 물론 규모가 작은 스타트업까지 ESG에 집중하고 있다. ESG는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인 환경(Environment)·사회(Social)·지배구조(Governance)의 줄임말로 지속 가능한 발전의 핵..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