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 (6) 썸네일형 리스트형 한국 딜로이트 그룹, ‘글로벌 CEO들이 말하는 2025년 경제·산업 전망’ 리포트 발행 글/이성현 기자경제 낙관하는 글로벌 CEO 비율, 2024년 7% → 2025년 42% “6배 늘어”글로벌 CEO 47% “AI 및 생성형 AI투자 확대할 것”딜로이트가 발표한 ‘글로벌 CEO들이 말하는 2025년 경제·산업 전망’ 조사에 따르면, 2024년에 비해 2025년 글로벌 경제를 낙관적으로 전망하는 글로벌 CEO의 비율이 크게 증가했다. 이는 대내외 불확실성 속에서 비관적인 전망이 우세한 국내 기업 CEO들의 시각과 뚜렷한 대조를 보였다. 이 리포트는 딜로이트가 미국 대선 직후 약 3주간 20개 이상의 산업을 대표하는 141명의 CEO를 대상으로 설문과 심층 인터뷰를 통해 작성한 것으로, 생성형 AI 투자와 구축계획의 증가도 주목할 만한 점으로 꼽혔다. 특히 효율성 개선, 업무 자동화, 비용.. 인플레이션 우려 속에도, 한국 “20개국 중 과시성 소비 4위” ‘소비자 재정적 웰빙 지수', 임금 정체 및 물가 반등 우려로 2024년 이후 하락세높은 식료품 구매와 주택 거주비용 비중에도, 이에 상응하는 금액을 저축 및 투자에 지출할 계획팍팍한 재무 상황이 이어지며 민간소비가 좀처럼 회복되지 못하는 가운데, 글로벌/한국 소비자 심리 파악 및 기업 전략 수립에 유용한 분석지표가 공개됐다. 한국 딜로이트 그룹이 발표한 ‘딜로이트 Consumer Signals(Link)’ 인덱스는 한국 포함 20개국 국가별 18세 이상 1,000명 대상 설문 및 심층 인터뷰를 통해 소비자 구매 우선순위와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지수화해 추세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지표다. 이번 발표된 인덱스에는 소비자 인플레이션 우려 지수, 소비자 재정적 웰빙 지수(FWBI), 소비.. 생성 AI 필두로 2024년 이끌 기술 트렌드 전망 글로벌 트렌드 센싱 서비스 트렌드버드, 2024 트렌드 전망 보고서 발표 플라시보가 운영하는 글로벌 트렌드 리서치 업체 트렌드버드는 ‘2024 트렌드 전망 보고서(TRENDBIRD - Annual Trend Report 2024)’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2023년 한 해 글로벌 비즈니스 영역에서 관찰된 주요 트렌드와 주목받았던 비즈니스를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2~3년간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는 기술, 사업 아이템 및 이에 대한 전망을 다양한 실사례와 함께 정리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챗GPT로 촉발된 생성 인공지능(AI) 열풍은 2024년 스마트폰, 차량 등에 포팅되는 온디바이스 생성 AI로 확대돼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많은 글로벌 기업이 생성 AI를 실제 업무에 적용.. 중고거래 확산…작년 국내 중고거래 규모 24조 원 기록! 기존 온라인 쇼핑몰....중고거래 시장 합류 지속적인 인플레이션....중고거래 활성화 패스트패션, 기후 위기 문제 해결의 열쇠 국내 중고거래 규모가 빠르게 커지고 있다. 당근마켓, 번개장터, 중고나라 등 다양한 중고거래 플랫폼이 등장하여 많은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는 현 추세가 이를 반영한다. 작년 한 해 국내 중고거래 규모는 24조 원을 기록하며 기존 온라인 쇼핑몰인 SSG닷컴, 네이버 등도 이러한 상황에 발맞춤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최근 4년간, 일반 패션 시장이 연 3% 성장할 때, 패션 중고거래 시장은 약 33%가 성장했다. 이처럼 중고거래 규모 확산은 세계적인 추세라고 볼 수 있다. 과거 '빈티지'의 유행으로 중고 패션 및 물품의 인기가 높았지만 현재는 다양한 이유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먼.. 빅테크 기업, 비용 절감에 나서...모든 직장인의 꿈, 사내 복지 축소한다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가 높아져 비용 절감에 나섰다... 조직 개편 및 사내 복지 축소 메타 플랫폼의 한 달 정리해고 구글 CEO "재미와 돈을 동일시해서는 안 된다" 복지 축소되더라도 여전히 즐거운 회사일 것 아마존, 물류창고 줄이기... 배달기사 해고 위기 구글, 메타를 비롯한 미국 빅테크 기업들이 비용 절감에 나섰다.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가 높아지자 조직을 개편하고 사내 복지 축소를 진행한 것이다. 21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메타 플랫폼이 향후 몇 달 동안 비용을 최소 10% 절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조직 개편의 영향을 받은 직원에게 다른 부서에서 근무할 기회를 제공하지만, 범위 제한을 두어 감원 효과를 불러오는 것이다. 메타 관행상 한 달 안에 새로운 직무를.. 한국 미국 금리 역전...외국인 자본의 이탈? 미국의 자이언트 스텝 예상 상대적으로 소극적인 한국의 금리 인상과 금리 역전 미국 연준이 자이언트 스텝을 단행함에 따라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는 1.75% 수준으로 동일해졌다. 미국은 높은 금리인상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보이며, 이에 추가적인 자이언트 스텝을 시장은 예상한다. 소비자물가지수가 8.8%으로 예상되며, 100bp의 자이언트 스텝을 뛰어넘는 금리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예상하는 견해도 존재한다. 이러한 흐름 속 한국은 적극적인 금리 인상을 주저하고 있다. 높은 가계 부채와, 경기 위축에 대한 우려 때문이다. 하지만 미국과의 금리차가 역전됨에 따라 채권, 주식 시장의 자금이 이탈할 것으로 우려되는 만큼 빅스텝을 단행할 것이라고 전망된다.(7.11 기준) 다만 빅스텝을 단행하더라도 미국과의 금리 역전..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