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소통 (3) 썸네일형 리스트형 기업 경영 핵심 성과지표, KPI 세우는 방법? 경영 계기판은 ‘경영자의 계기판’전사 차원 KPI 수립이 먼저 이후 부서별·개인별 KPI를 세워야성과 지표가 하는 2가지 역할? 구체화·동기부여성과 지표 기준? ‘SMART’로 정의모든 운전에는 계기판이 필요하다. 자동차를 운전하는 사람은 속도계와 내비게이션, 그리고 도로 표지판을 보아야 한다. 비행기를 운항하는 사람은 고도, 압력, 방향, 속도, 온도계 등 좀 더 복잡한 계기판을 필요로 한다.경영자의 계기판은 어떠해야 하는가? 매일 보아야 하는 숫자는 무엇이고, 매주 혹은 매월 체크해야 하는 것은 무엇일까? 계기판 자체가 경영을 잘하게 해주지는 않는다. 하지만 최소한 현재 어디에 있는지 알게 해 주고 잘못된 길로 가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경영자를 만나 ‘지금 경영은 어떻습니까?’라 고 질문하면.. 회사 조직문화의 발전, 시스템이 아닌 문화로 접근하라 구글 문화를 이식하면 100%실패한다 열린 소통과 대화가 중요하다 개인의 성장은 곧 회사의 성장이다 리더도 성장해야 한다 이준영 야놀자 수석부대표는 구글에서 20년간 일한 한국인 구글러 1호다. 구글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야놀자 부대표로 새출발한 그의 조언을 들어보겠다. 구글 문화를 이식하면 100% 실패한다 구글 조직문화를 그대로 이식하면 실패할 확률이 높다. 회사 문화가 구글이 아닌데, 구글이 사용하는 방식만을 수용하면 실패할 수밖에 없다. 시스템이 아닌 문화로 접근해야 한다. 회사의 좋은 문화를 유지하고, 취약점을 보수하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한다. 또한 중간리더의 역할이 중요하다. 경영자는 열정을 가지고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하는데, 중간 조직이 적극적으로 수용하지 않으면 회사는 변화할 수 없다. 대.. 인재 양성을 위한 필수 도구 ‘라이프 밸런스 휠(Life Balance Wheel)’ 라이프 밸런스 휠의 8개 영역 통해 인생 각 분야에 대한 균형을 잡을 수 있어 리더, 직원과의 대화 통해 Doing 중심이 아닌 being 중심으로 직원을 바라보는 관점 달라져 ‘일이 아닌 사람을 먼저 바라보게 된다’ 직원을 먼저 이해하고, 소통하려는 자세로 바뀐다 기업 안에 리더십이 바뀌고 있다. 과거에는 리더가 성과만 잘 챙기면 탁월한 리더로 인정받았던 시절이 있었지만, 지금은 업무 역량은 기본이고 더 나아가 인재 양성은 필수가 됐다. 인재 양성을 위해서 리더가 팔로워들에게 명확하게 지시해야 할 때가 있고, 가르쳐야 할 때도 있으며, 전문가로서 컨설팅을 해줄 때가 있다. 그리고 때론 인생의 선배로서 멘토링을 해야 할 때도 있다. 또한 팔로워들 각 개인들의 무한한 가능성을 믿어주고 스스로 답을 찾아갈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