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직장

(18)
Z세대 취준생이 뽑은 최고·최악의 직장 사수는? ‘성격이 좋지만, 배울 게 없는 사수’보다 ‘성격은 나쁘지만, 배울 게 많은 사수’ 더 선호Z세대가 뽑은 최고의 직장 사수 ‘노하우 아낌없이 주는 사수’ 5월 28일 목회데이터연구소 '일반사회통계' 제 241호에서는 'Z세대 취준생이 뽑은 최고·최악의 직장 사수'라는 제목으로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출처: 목회자데이터 연구소Z세대, ‘성격 나빠도 배울 게 많은 사수’가 더 좋아• 최근 Z세대 취업 준비생을 대상으로 ‘직장 사수’에 관한 흥미로운 조사 결과가 있어 이를 살펴본다. 두 가지 사수 유형을 제시하고 둘 중 택일하도록 한 결과, ‘성격이 좋지만, 배울 게 없는 사수’(42%)보다는 ‘성격은 나쁘지만, 배울 게 많은 사수’(58%)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출처: 목회자데이터 연구소Z세대 취준..
토스, '우리 동네 토스 어린이집' 제도 도입 지역은 강남, 판교, 송파 총 세곳에서 운영 토스는 오는 6월부터 직장어린이집 제도를 도입한다고 28일 밝혔다.출처: 토스토스는 미취학 자녀를 둔 팀원들이 육아 부담을 덜고 업무에 몰입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보육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해당 제도를 마련했다.특히 팀원의 거주지 근처 어린이집과 협력하는 ‘거점형’으로, 사업장 인근에서 운영하는 방식에 비해 편의성을 높인 점이 특징이다. 제도 이름도 ‘우리 동네 토스 어린이집’으로 붙였다. 운영 지역은 수요가 높은 강남, 판교, 송파 등 총 세 곳이다.어린이집 제도 도입부터 선정까지 토스, 토스 관계사 및 계열사 구성원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했다. 선정 기준으로는 거주 지역과의 접근성은 물론 수준 높은 커리큘럼, 우수한 교직원, 보건복지부 평가제 A등급 취득 여..
어떻게 하면 직원들이 자발적ㆍ주도적으로 목표를 달성하게 할까? 경쟁력 있는 기업, 경쟁력 있는 직원으로부터 동기부여는 ‘조직 구성원들로 하여금 자발적으로 어떤 행동을 하도록 원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직원들이 동기부여가 되면 주도적으로 질문하고 프로젝트를 이끌어 나간다. 어떻게 하면 직원들이 자발적ㆍ주도적으로 과업을 달성하게 할까?흔히 동기부여라고 하면 직원만족도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갤럽에서 한 호텔의 컨설팅을 진행한 결과 직원만족도와 과업 동기요인은 상관관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직원만족도는 위생요인(불만요인)과, 동기요인은 직원 몰입도와 상관 관계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직원만족과 직원몰입은 다름 개념이다. 직원들에게 동기부여를 하기 위해서 경영자들은 직원 몰입도를 높이는 것에 집중해야 한다. ‘직원 몰입도’란 회사 또는 업무의 ..
잡코리아 조사, 올해 직장인 연봉 인상률 ‘평균 5.7% ⬆’ 직장인 2명중 1명 연봉 인상 수준 '불만족' 기대했던 인상률 9.2% 보다 3.5%P 낮아… 불만족으로 이직할 것 올해 직장인들의 연봉 인상률은 평균 5.7%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대비 연봉이 인상됐지만 이에 만족하는 직장인은 소수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타 커리어 플랫폼 잡코리아가 2024년 연봉협상을 완료한 남녀 직장인 632명을 대상으로 ‘연봉 인상 만족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다. 잡코리아는 먼저 연봉협상 결과가 어떠했는지 질문했다. 그 결과, 지난해 대비 연봉이 ‘인상됐다’고 답한 직장인들은 59.2%였다. 전년 수준으로 연봉이 ‘동결됐다’고 밝힌 이들은 38.4%였고, 작년 대비 올해 연봉이 ‘삭감됐다’고 답한 직장인은 2.4%로 조사됐다. 2024년 연봉이 지난해 대비 인상됐..
“연봉이 다가 아니야" 중요해지는 직장 내 ‘인간관계’ "높은 연봉보다 중요한 조건이 많다"(56.0%)…높은 연봉이 전부는 아니라는 응답, 과반(51.7%) 조직문화가 좋다면 연봉이 조금 적은 수준이라도 오래 다닐 수 있을 것 같다(55.1%)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전국 만 19~59세 급여 소득자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2023 좋은 직장 및 일의 의미 관련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직장생활에서 ‘연봉’을 가장 중요한 조건으로 평가하면서도 조직 문화, 워라밸 등 연봉 외적인 요소 또한 중요시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직장 내 원만한 인간관계가 회사 생활에서의 ‘의미’를 부여해 주는 중요한 요소로 평가되고 있는 점이 주목할 만한 결과였다. '좋은 직장'의 조건 및 의미에 대한 질문 [출처: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 ..
“더운데 반바지 입으면 안 되나요?” 직장인 89.3%, ‘쿨비즈 도입 원해’ 재직 회사에서 반바지 착용 불가하다, ’45.6%’ 복장 자유가 회사를 선택하는 데 얼마나 중요한가의 질문에 55.6%가 ‘중요하다’고 답해 쿨비즈 도입 찬성 이유는 ‘자유로운 복장으로 근무 환경, 업무 편의 개선’ 무더위로 인해 직장인의 복장이 얇고 짧아졌다. 이에 여름에 가벼운 옷차림을 권장하는 '쿨비즈'를 도입하는 해외 기업이 많아졌다. 국내 대기업 또한 쿨비즈를 권장하며, 직장 내 반바지 차림도 상관없다는 입장이었다. 또한, 최근 한 지자체 시장과의 대화 자리에서 공무원이 반바지 차림으로 출근은 어떻겠냐는 말에 시장은 ‘괜찮다’라고 했다. 실제 직장인들의 복장 자유도는 어느 정도이며, 쿨비즈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까? HR테크 기업 인크루트(대표 서미영)는 직장인 888명을 대상으로 ‘회사 복장에 ..
직원은 할 수 있지만 사장은 할 수 없는 일 때론 할 수 있는것보다 하지 말아야 하는것을 안하는것이 더 중요!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하루 일과를 마치고 직장 동료들과 함께 술자리를 가지며 일에 대한 하소연을 해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고객을 상대하는 직종에 종사하는 경우 고객에 대한 이야기도 빼놓을 수 없다. 동료나 선임 또는 후임에 대한 불만은 단골 소재이다. 사내 복지도 잘 되어있고 직장 동료들도 좋고 급여도, 업무 만족도도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직장에 다닐 수도 있겠지만 그런 환경에서조차도 하나쯤은 어려운 점이 있기 마련이기에 직장인이라면 공감할 것이고 나 역시 다르지 않았다. 동료나 상사, 고객에 대한 뒷 이야기를 하는 것이 무조건 나쁘다고만 할 수 있을까?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 일방적인 모함이나 집단 따돌림이라면 문제겠지만 술자리 안주삼..
‘높은 연봉’보다 더 중요한 ‘이것’! 직장생활엔 연봉보다 중요한 조건들이 많다 52.5%, 높은 연봉이 꼭 전부는 아니다 49.7% 코로나 19 이후 상당수 직장인들 '조직문화' '복지'에 대한 의미부여 높아졌다 직장인들이 일하고 싶어하는 기업의 조건은 연봉 뿐일까? '높은 연봉’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이 있다! 직장인들이 직장을 선택하는 데 있어 연봉은 여전히 중요하다. 직장에서 근무를 하는 이유가 돈을 벌기 위함인 만큼, 내가 노력한 만큼의 보상인 연봉은 적절해야 한다. 이를 입증하듯, 작년 11월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에서 발표한 “좋은 직장 및 직장생활 만족도 조사”에 따르면 ‘연봉’의 중요성이 개인의 직장 만족도와 근속 의지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앞서 언급한 통계에서는 ‘직장인들에게 연봉만큼 중요한 건 없다’는 응답이 78..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