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이성현 기자
여행 경험·계획부터 지출·지출의향, 기간까지 감소 추세
숙박은 가족·친구집, 목적은 친지·지인 만남 비중 커져
모든 여행지 관심도 뚝...계절+경제적 요인 복합된 듯
여행 경험률 코로나 전 80% 수준에서 박스권에 갇혀
계획, 지출 모두 위축...근거리·저비용 아시아로만 몰려
최근의 환율상승 본격 반영되면 추가 냉각 가능성 높아
여행 리서치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매월 수행하는 ‘국내/해외 여행 동향 분석’은 지난 1달간 대한민국의 국내 및 해외여행 현황 및 코로나 이전 대비 TCI(Travel Corona Index, 여행 코로나 지수, '2024년 당월' 결과값을 '코로나 발생 전년(2019년) 동월' 결과값으로 나눈 수치), 그리고 향후 전망을 제공한다. 그들은 12월 24일 해당 보고서의 2024년 11월에 대한 결과를 발표했다.
먼저 국내 여행의 현황은 11월 국내 숙박여행 경험률이 69.3%로 4개월 간 69%대에 머물렀다. 국내여행 평균 기간은 3.00일, 1인 당 총 경비는 23.1만 원, 1일 당 7.7만 원이었고, 단기간 여행(1박 2일)은 3개월 간 지속적으로 증가세인 반면, 2박 3일 이상의 여행은 계속된 감소세를 보였다.
코로나 이전(2019년 11월)과 비교하면 국내 숙박여행 경험률과 계획률의 TCI는 각각 94, 93으로 코로나 직전 보다 여행률이 전반적으로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국 여행지 중 코로나 이전 대비 수도권(TCI 104)과 충청권(TCI 129)만이 숙박 여행 경험률(점유율)이 높았다.
향후 전망으론 국내여행 계획률은 지난 1년 중 가장 낮았으며(66.2%), 이는 코로나 이전보다 낮아(TCI 93) 여행 감소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충청권은 코로나 이전 대비 크게 관심도가 높아진 곳으로(TCI 140), 비롯하여 단기간-근거리 여행의 선호 경향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기사의 전체 내용이 궁금하다면?
'비즈니스 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차’하면 떠오르는 나라, 미국·한국 줄고 중국 늘었다 (0) | 2024.12.26 |
---|---|
“집회도 축제처럼” 성숙한 참여, 새로운 집회 문화 (1) | 2024.12.26 |
한국 딜로이트 그룹, ‘글로벌 CEO들이 말하는 2025년 경제·산업 전망’ 리포트 발행 (1) | 2024.12.26 |
SM 파운더 이수만 ‘30주년 공연’ 초청…A2O 연습생 공개 (0) | 2024.12.26 |
신입사원이 입사 후 빠르게 적응하려면 00을 진행하라! (1) | 2024.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