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22년만 미국 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
자금유출, 원화가치 하락 가능성.. 한은 기준금리 인상 불가피
기업대출금리 상승에 대한 대비 필요

미국이 22년 만에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올리는 ‘빅스텝'을 단행했고 추가 인상까지도 시사했다. 해외로 자본 유출을 막기 위해 한국 또한 기준금리 인상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과 미국의 현재 기준금리 격차는 이전 1.00~1.25%포인트에서 0.50~0.75%포인트로 많이 축소됐다. 몇 개월 내 미국이 두세 차례 빅스텝을 더 밟으면 두 국가 간 금리 역전 현상이 나타난다.
이렇게 될 경우 투자 자금 유출, 원화 가치 하락 등 부작용이 작용한다. 이러한 부작용을 막기 위해서 그리고 최근 급등한 물가를 잡기 위해 기준 금리 추가 인상 필요성이 제기된다. 지난달 소비자 물가는 전년 동기 대비 4.8% 상승했다.
이는 기업들에게 대출금리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응하라는 신호이기도 하다. 국내 기업대출금리 상승으로 매출순이익이 영향을 받을 것이다.
국내 중소기업의 신규 대출금리는 2016년 7월부터 30개월간 0.5%포인트 상승하는데 그쳤지만2021년 5월 이후 10개월 만에 0.8%포인트 오른 것을 볼 때 대출금리 상승 속도가 가파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원자재가격 상승과 달러 강세가 맞물려 현재 한국 기업 채산성을 악화시키고 있다.
*채산성: 경영 상에 있어 수지, 손익을 따져 이익이 나는 정도를 말한다.
글/ 박한결 학생기자
반응형
LIST
'비즈니스 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빠른 배송 시장 사이에서 느린가치를 추구하는 슬로우커머스의 등장 (0) | 2022.05.11 |
---|---|
서울성모병원, 환아들과 함께 펼치는 메타버스 속 '꿈의 무대' 개최 (0) | 2022.05.10 |
나이키 에어조던 사려면 어떻게 해야 돼요? 돈만 있어서는 안 되는 '래플 마케팅' (0) | 2022.05.10 |
햄버거가 14만원?...프리미엄 햄버거 시대 (0) | 2022.05.10 |
[시리즈] 홀라크라시(Holacracy), 가장 도전적이고 혁신적인 미래의 조직 모델 / 下 (0) | 2022.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