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 사례

우리의 삶을 지배하는 '플랫폼'

728x90
반응형
SMALL
플랫폼의 양면시장
플랫폼,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활용할 수 있는 공간 상징

플랫폼이란, 경계가 없던 땅이 구획되면서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을 상징한다.

사전적 의미 이외에도 비즈니스적인 상황에서도 플랫폼이라는 단어가 사용되는데, 제작자와 구독자가 직접 참여하여 각자가 얻고자 하는 가치를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환경이다.

플랫폼 기업들은 세상의 변화를 주도한다. 이러한 변화를 이해하고, 따라잡기 위해서 벤치마킹이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변화를 이끄는 조직의 리더의 행보에 주목하고, 세계에서 가장 잘 나가는 높은 기업 가치를 지닌 기업들을 보고 배우고 따라가야 한다.

현재 세계에서 기업 가치가 가장 높은 TOP10 중 무려 7곳이 플랫폼 기업이라고 한다.

플랫폼 기업과 기존 비즈니스 간의 차이는 어디서부터 시작된 것일까? 기존 기업은 단선적인 사업 형태로 조직을 운용한다.

기업의 공급자와 생산자, 판매자들은 모두 한 가지 목표만을 가지고 있다. 고객을 지향하며 그들을 만족시키는 것이다.

고객을 위해 상품을 만들고, 서비스를 개발하여 고객에게 어떻게 인식시킬지 걱정하는 것이 그들의 비즈니스의 일부이다.

하지만 플랫폼 사업자들은 이러한 단선적인 사업을 전부 무시한다. 플랫폼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가장 중요한 요소인 양면 시장이라는 개념을 파악해야 한다.

그들은 양쪽 시장을 모두 바라보며 그 사이를 연결시키는 형태의 사업 구조를 이용한다. 사업자 스스로를 공중부양시켜 고객은 물론 공급자들 또한 사업의 대상으로 바라 본다.

그들은 소비자와 사업자를 한꺼번에 만족시키기 위해 경쟁을 하게 되고, 결론적으로 양쪽 시장을 모두 아우르는 기업이 되는 것이다.

그 중 코로나 19라는 팬데믹 상황 이후에 더 큰 주목을 받고 있는 넷플릭스에 대해서 알아보자. 넷플릭스의 사업 구조는 매우 독특하다.

그들은 시장의 지배자가 되었다. 넷플릭스는 고객들이 한 달에 일정한 돈을 내면 공급자들이 제공하는 모든 컨텐츠를 무제한적으로 소비할 수 있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하지만 사업 구조 때문에 계속해서 안전한 지위를 가지기는 쉽지 않다.

매년 컨텐츠를 사 모아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현금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계속해서 은행에 손을 벌려야만 한다.

또한 같은 방식으로 운용하겠다는 경쟁사가 나날이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유튜브 또한 넷플릭스와 함께 콘텐츠 업계의 양대 산맥을 이루고 있다. 하지만 유튜브는 새로운 종류의 사업 모델이다.

그들은 콘텐츠를 생산하지 않는다. 단지 제작자와 구독자들을 연결하는 플랫폼이다.

플랫폼 사업에 대해서는 기존과 다른 이해가 필요하다. 단면 시장만 보는 것이 아니라 경쟁 방식, 수익 방식, 시장으로써의 인정 방식, 모든 것이 기존의 시장과는 다르다.

플랫폼 기업들이 시장을 지배하면서 많은 정보들을 플랫폼을 통해 알 수 있게 되었고 소비자들의 효용이 자연스럽게 올라간다.

하지만 독점이라는 새로운 사회적 문제가 등장하게 되면서, 정부의 규제가 요구됨은 물론이고 플랫폼 노동자라는 새로운 개념이 생겨나기도 한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플랫폼 기업들이 원하는 모습은 시장, 광장, 환경의 운영자라고 볼 수 있다.

 

글/ 우효은 학생기자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