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대학내일20대연구소' 성별, 연령, 세대별 MZ세대 소비 행태 조사 결과 발표
MZ세대 월 평균 지출액 115.5만원... 여성이 남성보다 평균 지출액 22.2만원 높아
의류・화장품 구매처는 세대별 큰 차이 보여... 세대 올라갈수록 '온라인 편집숍'과 '오프라인 H&B 스토어' 이용률 감소
'카카오톡 선물하기' 기능 합리적이라는 인식 확대... MZ세대 46.8%가 한 달에 한 번 이상 사용
지난 13일, ‘대학내일20대연구소’는 만 15~41세를 대상으로 성별, 연령, 세대별 소비 행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만 19세 이상 MZ세대의 월 평균 지출액은 115.5만원이었다. 남성 월 평균 지출액은 104.8만원, 여성은 127만원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평균 22.2만원 높았다.
지출 항목 중 식비가 가장 큰 비율을 차지했다. 만 19세 이상 MZ세대는 월 평균 30.4만원을 식비로 지출하고 있었다. 온라인 콘텐츠에는 월 평균 1.4만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류・화장품 구매처는 세대별 큰 차이 보여... 세대 올라갈수록 '온라인 편집숍'과 '오프라인 H&B 스토어' 이용률 감소
MZ세대는 의류를 종합 온라인 쇼핑몰(52%)에서 가장 많이 구매하고 있었다. 온라인 편집숍(29%), 오프라인 아울렛(21.6%)이 뒤를 이었다.
Z세대는 온라인 편집숍(44.3%)에서 가장 많이 의류 구매를 하고 있었다. 연령이 높은 세대일수록 온라인 편집숍 이용률이 현저히 떨어졌다. 후기 밀레니얼의 온라인 편집숍 이용률은 27.1%, 전기 밀레니얼은 13.3%였다.
MZ세대 화장품 구매처는 ‘종합 온라인 쇼핑몰(41.9%)’이 1위, ‘오프라인 H&B 스토어(33.8%)’가 2위를 차지했다.
화장품 구매처 역시 세대별로 상반된 결과가 나왔다. ‘종합 온라인 쇼핑몰’ 이용률은 Z세대 24.6%, 후기 밀레니얼 46.5%, 전기 밀레니얼 57.5%로 세대가 올라갈수록 이용률이 크게 증가했다. ‘오프라인 H&B스토어’는 Z세대(39.9%)와 후기 밀레니얼(37.6%)에서 높은 이용률을 보였다. 전기 밀레니얼의 ‘오프라인 H&B스토어’ 이용률은 23.6%로 크게 떨어졌다.

'카카오톡 선물하기' 기능 합리적이라는 인식 확대... MZ세대 46.8%가 한 달에 한 번 이상 사용
MZ세대의 일상에 자리잡은 '카카오톡 선물하기' 기능은 카카오톡 기프티콘 발송 외에도 더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여러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원하는 주소지로 상품을 배송해주는 '선물하기 기능' 이용이 확대되었다.
MZ세대는 타인에게 선물할 때 '직접 전달(10.2%)'보다 '온라인 쇼핑몰 선물하기 기능(66.7%)'을 더 자주 이용하고 있었다. '선물하기 기능'을 한 달에 한 번 이상 사용하는 경우도 46.8%에 달했다.
조사 응답자의 63.3%가 직접 구매 후 전달하는 것보다 '선물하기 기능'을 이용하는 게 더 합리적이라고 답했다. 응답자 55.9%는 '선물하기 기능'이 직접 구매와 같은 정도의 정성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글/ 신가희 기자
'비즈니스 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NFT를 통한 성장…기업가치를 올리는 무형자산 관리 비법” 50회 가인지경영세미나, 21일에 열려 (0) | 2022.07.22 |
---|---|
기업가치를 올리는 무형자산 관리하기…고객과 채널·상품과 브랜드·지식과 인재! (0) | 2022.07.22 |
조리는 간단, 맛은 일품! ‘먹핑’ 트렌드에 캠핑 간편식 등장 (0) | 2022.07.22 |
직원의 실력은 조직의 미래다! 실력있는 직원을 효과적으로 알아보는 법 (0) | 2022.07.22 |
변화한 트렌드, 레브론의 몰락... Z세대와의 소통이 관건 (0) | 2022.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