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 사례

이미 우리나라에 200개가 넘는 이것, ESG산업의 미래로 발돋움한다!

728x90
반응형
SMALL

글/이성현 기자


12월 5일, 6일 송도서 '넥스트모빌리티 엑스포 2024' 성황리 개최
'수소모빌리티 전환 컨퍼런스'의 두번째 세션은 수소 기술의 상용화 및 인프라

12월 5일부터 6일까지 인천 송도에 위치한 컨벤시아에서 ‘넥스트모빌리티 엑스포 2024'가 성황리에 개최됐 다. '넥스트 모빌리티 2024'는 인천광역시가 주최하며 인천관광공사와 (주)메쎄이상, 인천대학교와 한국천연가스수소차량협회가 주관한다. '모빌리티 기술을 통해 정책, 연구 및 개발, 현장 실증 ,상용 기술 등 미래 도시 혁신의 비전을 다루는 자리'로 소개되는 본 행사는 모빌리티 분야 전문가들이 모여 미래 모빌리티 기술 및 미래 혁신 방안을 공유했다.

행사장에서는 모빌리티 관련 업체와 대학들이 자신들의 기술과 상품을 시연하고, 모빌리티 산업 육성 및 활성화를 위한 자율주행 대학생 경진대회를 개최하기도 한다. 또 모빌리티 관련 기관들의 전문가가 모여 지식을 공유하는 모빌리티 전문 세미나를 개최하기도 한다.

'넥스트 모빌리티 서밋'이라는 이름으로 컨퍼런스도 열렸는데, 그 중 둘째날인 12월 6일에는 '수소모빌리티 전환 컨퍼런스'가 진행됐다. 수소모빌리티의 동향과 인프라 및 상용화 방안을 논의한 본 컨퍼런스는 인천광역시가 주최하고, 한국천연가스수소차량협회와 인천관광공사, (주)메쎄이상의 주관 하에 진행됐다. 그리고 구영모 한국자동차연구원 연구소장, 강운성 한국가스안전공사 차장, 장민호 한국교통안전공단 차장, 유덕근 HD현대인프라코어 책임연구원, 김정곤 SK이노베이션 E&S매니저 등 모빌리티 분야 최고 전문가들이 강연자로 참석하였다. 이들의 발표는 총 2개의 세션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두번째 세션은 '수소 기술의 상용화 및 인프라'를 주제로 진행됐다. 김성원 부안군청 지역경제과 팀장이 첫 발표에 나서 '지자체의 수소상용차 도입 운행 사례'에 관해 발표했다. 그는 "부안군은 최근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0년까지 최대 43% 감소하는 걸 목표로 하고 있다"며 "그 일환으로 수소경제를 활성화하고, 이를 통해 지역산업지형을 탈바꿈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실제로 부안군이 현재 시공 중인 부안의 수전해 기반 수소생산기지와 이미 운영 중이 수소충전소를 소개한 그는 "부안이 수소를 주요 에너지원으로 하는 청정에너지 자립도시 건설을 목표로 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사진 출처: 넥스트모빌리티엑스포 제공.

또 김성원 팀장은 "부안군에 도입된 수소연료전지차가 승용차와 버스, 청소차 등을 합해서 300대에 육박한다"며 자신감을 드러냈는데, 부안군에 실제 적용한 후 도출된 장점으로 "배기가스를 배출하지 않고 엔진열과 소음이 감소하여 친환경적이다. 또 운전원의 피로도가 감소하고 승하차식 보다 쾌적함을 느낄 수 있어 근로자 보호 및 이동권이 보다 개선된다"고 말했다. 다만 "버스와 청소차는 대형이라 농어촌버스 운행에 부적합하고, 연비가 낮으며 수리 기간이 길어 경제성이 낮다"며 보완의 필요성을 언급하기도 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부안이 환경을 이해하고 사회와 상생하는 지속 가능한 도시가 되겠다"며 포부를 전했다.

왜 수소엔진인지에 대해서는 "수소 연료의 모빌리티 사용 비중이 2050년에 그 비중이 훨씬 높아질 것이기 때문"이라고 전했고, 모빌리티 생산기업의 이산화탄소 규제를 언급하며 "못해도 10대 중 1대는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제품으로 생산해야 하는데, 수소엔진의 생산비율은 현재 5%에서 2040년 2배 이상 오를 것"이라고 예견하며 수소 모빌리티의 잠재력을 이유로 꼽는 모습이었다. 그럼 "이렇게 잠재력 있는 수소가 왜 그간 모빌리티로 이어지지 않았냐"는 반문이 있을 수 있는데, 유덕근 연구원은 "수소를 연소하여 에너지화하는 기술이 최근 들어서야 본격적으로 상용화되었다"고 답변했다.

최근 현대인프라코어가 진행하고 있는 수소엔진 개발에 대해서는 다양한 측면에서 현황을 전했다. 먼저 배출에 관해서는 "수소 에너지가 탄소를 배출하지 않기에 이산화탄소가 거의 배출되지 않으며 그에 따라 일산화탄소와 미세먼지 배출 또한 미미한 수준"이라고 이야기했다. 대형 버스의 엔진은 "기존 엔진과 CNG 탱크를 각각 수소엔진과 수소탱크로 교체하면 된다"고 말했고, 굴착기 엔진은 "현재 전기 굴착기가 개발 진행 중이라 30톤 이상 들어올릴 수 있는 커다란 모델에 한해 개발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발전기 수소 엔진에 대한 수요가 많아질 것이라 예측했는데, "9월부터 이미 연구동에서 3000시간의 데모 발전을 진행했다"며 상용화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세번째로 'SK 수소사업 및 액화충전인프라'를 주제로 김정곤 SK이노베이션 E&S 매니저가 발표를 맡았다. "SK는 현재 인천 액화수소 사업을 시작으로 수송부문의 탄소 중립을 추진 중이다"라고 현황을 먼저 밝혔다. 이어서 "폐가스전을 활용한 차별화된 블루수소를 2028년까지 생산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사진 출처: 넥스트모빌리티엑스포 제공.

다음으로 SK E&S의 인천 액화수소 플랜트를 소개했는데, "순도를 최대 99.9%까지 높인 PSA를 액화하여 하루에 90톤 이상의 액화 수소 생산을 목표로 공장 가동 중에 있다"고 말했다. "단순히 액화수소를 생산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대형 물류기업과의 협업을 통한 수소 유통체계를 마련했다"며 "액화수소 탱크 트레일러가 현재는 7대 운용 중인데, 내후년까지 41대 도입을 목표로 한다"고 미래를 전망했다. 

충전 사업도 진행 중인데, 김정곤 매니저는 "액화수소 충전소 또한 현재 10개소를 운영 중이며, 추후 36개소 운영을 목표로 한다"고 말했다. 액화수소 충전소를 운용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높은 저장 효율로 수소 운송 차량의 운행 횟수를 절감할 수 있고, 운영 비용도 낮아 경제성이 높다"고 답변했다. 추가로 "실제로 인천 가좌의 액화수소 충전소는 액화펌프를 1세트 운영했을 때 일 최대 108대의 수소 차량의 안정적이고 빠른 충전이 가능하다"며 이미 그 역량이 궤도에 올랐음을 시사했다.

이렇게 SK E&S가 수소 상용차에 집중하는 이유로 김정곤 매니저는 "우선 상용차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육상수송분야 배출량의 80%가 넘어가 문제의식을 느꼈고, 수소버스는 완충 시 주행거리, 충전시간, 운영 안정성 등에서 전기버스 대비 우위에 있다"며 환경적으로도, 역량적으로도 전망이 밝다고 말했다. 

 

 

*기사의 전체 내용이 궁금하다면?

https://cas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848

반응형
LIST